미래유망신기술(6T)의 종류와 분류표 IT BT NT ST ET CT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래유망신기술(6T)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해요.
6T는 미래에 유망한 6가지 기술 분야로, 정보기술(IT), 생명공학기술(BT), 나노기술(NT), 우주항공기술(ST), 환경에너지기술(ET), 문화기술(CT)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단히 영어약자를 풀어놓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생명공학기술: Bio Technology
나노기술: Nano Technology
우주항공기술: Space Technology
환경에너지기술: Environment Technology
문화기술: Culture Technology
※ 위 각 기술의 이름은 조금씩 다른 듯 합니다. 예를 들면 ET의 경우 환경공학기술이라고도 하고, CT의 경우 문화콘텐츠기술이라고도 하는 듯싶습니다.
미래유망신기술(6T)의 특징
6T 각 분야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정보기술(IT): 정보를 생성, 처리, 저장, 전송하는 기술로, 컴퓨터, 인터넷, 스마트폰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생명공학기술(BT): 생명체나 생물학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용한 제품을 만들거나 공정을 개선하는 기술로, 의약품, 식품, 바이오 연료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나노기술(NT): 물질을 나노미터 크기로 조작하여 새로운 물질이나 장치를 만드는 기술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센서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우주항공기술(ST): 우주 공간을 탐사하고 이용하는 기술로, 인공위성, 우주왕복선, 우주정거장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환경에너지기술(ET): 환경을 보호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로, 친환경 자동차,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 문화기술(CT): 문화예술 산업을 발전시키는 기술로,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방송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미래 사회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이 미래유망신기술(6T)가 분류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미래유망신기술(6T) 분류표는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실 수 있는데요, 아래 그림처럼 화면이 나오면 아래 파일을 내려받으시면 됩니다. 게시글 하단을 참고하셔도 좋은데요, 다만 표가 못생기게 나온 점은 양해해 주세요.
https://www.mss.go.kr/site/daegu/ex/bbs/View.do?cbIdx=207&bcIdx=44887
https://www.mss.go.kr/site/daegu/ex/bbs/View.do?bcIdx=44887&cbIdx=207
2014년도 건강진단연계형 제품공정개선과제 관리지침 및 기술분류표, 별지서식을 공지(종합)하오니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www.mss.go.kr
미래유망신기술(6T)의 분류체계
미래유망신기술은 세 차원으로 이뤄져 있는데요, 대분류는 좀 전에 살펴보았던 6개 분야고요, 중분류, 소분류로 세분됩니다. 여기서 소분류에 해당하는 것이 엄밀히 말하면 미래유망신기술이 되겠지요.
예를 들면, <정보검색 및 DB기술> 기술의 코드는 010315 인데요, 이것이 해당하는 중분류는 정보처리 시스템 및 S/W이고요, 이것은 대분류인 정보기술(IT)에 속하는 것입니다. 코드는 소분류, 즉 기술명에만 부여되어 있어요.
미래유망신기술(6T)의 기원
미래유망신기술(6T)은 ʼ01년 국가경제자문위원회에서 21세기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채택하여 집중 육성되기 시작하였는데요, 6대 미래유망기술(6T) 분야 연구생산성 분석 및 시사점(김윤종)이란 보고서에 관련한 내용이 자세히 기술되었으니, 관심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로 접속하여 열람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보고서 내용을 발췌하였는데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분야는 지난 30년간 선진국을 모방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추격형 체제로 시작하여 선진국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의 추격 체제를 탈피하고 독자적인 기술을 확보하는 등 원천기술 확보에 대한 노력
◎ 그러나 눈앞에 보이는 성과 도출을 위한 양적 성장을 추구하다 보니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문제점들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연구 생산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
■ 본 이슈페이퍼는 급변하는 R&D 환경에서 미래유망기술로 제시되어 집중 육성되고 있는 6T 분야의 연구생산성을 비교하고,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
◎ 6대 미래유망기술에 대한 연구생산성 제고는 타 기술에 비하여 향후 파급효과가 크고, 미래성장 동력 창출에 기여하길 기대함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주권브리프
미래유망 신기술(6T) 분류표
아까 언급했듯이 이 미래유망신기술(6T) 분류표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분류표만 발췌한 것입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I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B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N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S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E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C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 <기타> 분야
I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핵심부품 | 010111 | 테라비트급 광통신 부품기술 | 초광대역 광전송용 광증폭기 핵심소재 및 소자․모듈 기술, 광 ADM․광 회선 분배기․광 패킷 라우터 등의 광 네트워크 노드용 광신호처리소자 및 모듈 기술(Tunable LD, 고속 광스위치 등), 광 가입자용 저가격 광통신 소자 및 모듈 기술 등 |
010112 | 집적회로기술 | 메모리 IC(고속D램, Fe램, Flash Memory, SET메모리 등)설계․재료․공정기술, 비메모리 반도체(MPU, DSP, ASIC, SoC 등)설계․공정기술, 시스템 IC․화합물반도체 기술 등, CAD를 통한 회로설계 기술, 신 반도체 공정을 위한 Lithography․E-beam 등 장비 기술, 프로세서․디지털 통신․디지털 방송 등 시스템 설계기술 | |
010113 |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
- 유기발광디스플레이(OLED) 기술 : 유기발광 재료분야 기술, Active-Matrix OLED 패널분야 기술, 구동회로가 일체화된 system-on-display(SOD) 분야 기술 등 -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 기술 : 대면적 전계 에미터 분야 기술, 진공 패키징 분야 기술, 저전압 형광체 재료분야 기술 등 - 3D 기술 |
|
010114 | 고밀도 정보저장장치 기술 |
- 광 저장장치: 경량 헤드 및 매체의 핵심기술 (설계, 제작) - 자기 저장장치: 고밀도 하이브리드형 저장장치 헤드 및 매체기술 - 기타 저장장치: 차세대 고밀도 저장매체 및 헤드기술 (신개념 저장장치 기술) - 표준화 기술: 국제표준화에 대처한 원천성 핵심기술 |
|
010115 |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 기존 디스플레이(PDP, LCD, CRT 등) 기술, 기존 저장장치(HDD, CD-ROM, DVD 등) 기술 등, 디지털/위성 방송용 부품기술, 디지털 가전부품 기술, 모터․ 커넥터․PCB 등 기타 정보통신 부품기술 등 | |
차세대 네트워크 기반 | 010211 | 4세대 이동통신 | PHY 기술(고속 전송 및 품질 확보), 다중 안테나․AMC․MUD․coding 기술, 무선 MAC 기술 및 IP 기술, Mobility․Qos 및 Security 해결기술 등 |
010212 | 대용량 광전송 시스템기술 | DWDM, 40Gbps OTDM, WDM over IP, Optical Fiber amplifier 등 네트워크 관련 기술, 새로운 Fiber 및 LD․PD․All optical ADM․switch등 부품기술, ATM-PON․E-PON․WR-PON 등 차세대 가입자 망을 위한 기술 | |
010213 | 고속인터넷 네트워킹기술 |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 기술, 유・무선 인터넷 통합 멀티서비스 기술, 개방형 네트워크 기술, IP 및 IPv6 관련 무선 및 이동통신 분야의 Mobility, QoS 및 Security 분야 기술, 고속 라우터 기반기술 등 | |
010214 | 기타 네트워크기술 | 기존 통신망(전력, 전화, xDSL, 케이블 등) 기술, 셀룰러 및 PCS 이동통신 네트워크 기술, 고정 네트워크(LAN, WLL 등) 기술, 기타 네트워크 기술 | |
정보처리 시스템 및 S/W | 010311 | 멀티미디어 단말기 및 운영체계기술 | 이동전화 단말․인터넷 정보가전 단말․무선인터넷 단말(PDA 등) 기술 등,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기술, 저전력․고성능 단말 설계 기술, 동영상 복원 및 화면 출력 기술, 내장형 실시간 운영체계 기술 |
010312 | 정보보안 및 암호기술 | 정보인증・보안기술, Secure Networking 인프라 및 서비스 기술, 초고속 유무선통합 네트워크 보안기술, IT-BT 응용 정보보호 서비스 기술 등 | |
010313 | 전자상거래 기술 |
B2C․B2B 기술, 차세대 e-비즈니스인 U-비즈니스 기술, 글로벌 비즈니스 기술․협업 비즈니스 기술, 모바일 비즈니스 기술, 디지털 비즈니스 기술, 지능형 비즈니스 기술 등 | |
010314 | 신호처리기술 (영상․음성처리 ․인식․합성) |
생체인식기술, 대화형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 언어 및 지식 처리 기술, 다국어 자동 번역 기술, 언어 정보 인식 기술, 영상 정보 인식 기술, 내용 기반 영상정보 검색기술, 영상정보 서비스 응용기술, 바이오 정보 분석 기술․바이오 신호전달망 상호작용 예측 기술, 바이오 정보검색 기술, 바이오 정보 통합관리 기술 등 | |
010315 | 정보검색 및 DB기술 | 웹․DB․XML 통합 정보 기술, 웹 마이닝 및 정보 클러스터링 정보구조화 기술, 분산 검색기술, 텍스터 마이닝 기반 지능형 정보검색 기술, 통합정보의 검색 인터페이스 기술, 사용자 프로파일링 및 맞춤정보 서비스 기술 등 | |
010316 | 기타 정보처리시스템 및 S/W 기술 | 전통 가전기술, 기존 컴퓨터․서버․주변장치 기술, 기타 소프트웨어 기술 등 | |
기타 정보기술 | 010411 | 기타 정보기술 | ITS, GIS 기술, 기타 전기전자 요소기술(센서 등),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정보통신 기술 |
B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기초․ 기반기술 |
020111 | 유전체기반 기술 |
신규 유전체 자원 탐색 및 확보기술, 유전체 서열 고속해독 및 분석기술, 유전체 구조해석기술, 유전자 발현 및 대량생산기술, 화학유전체 기술 등 |
020112 | 단백질체 연구 |
단백질공학기술, 구조생물학기반기술, 단백질체 구조 및 기능해석기술, 단백질 발현 및 생산기술, 생체내 단백질의 상호네트워크분석기술, 단백질체 고속분석기술, 질병 치료제 및 진단시약 개발을 위한 신규마커의 탐색 등 | |
020113 | 생물정보학 기술 |
유전체 및 단백질체의 대량 DB 구축 및 관리, 바이오 DB의 mining을 통한 유용생물정보 발굴, 단백질의 3차구조 및 약물 상호작용 연구 등 | |
020114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노화연구, 유전자발현 조절기술, 극한 환경에서의 생명체 연구, 세포의 증식․분화․사멸․신호전달 연구, 면역 제어 및 세포기능 조절기작 연구, 생체물질의 구조․기능연구, 유전정보 및 기능 유전체학을 이용한 질병 유전자 기능연구 등 | |
020115 | 뇌신경과학 연구 |
신경독성 기전 연구, 신경영양인자 및 신경세포재생연구, 뇌신경질환의 역학 연구, 병인기전 연구 및 조기 진단법, 뇌신경질환 치료제 개발 등 | |
020116 | 생물공정 기술 |
대사공학기술, 재조합 미생물을 이용한 단백질, 아미노산 및 대사산물 생산기술, 재조합 동물 세포를 이용한 단백질 생산기술, 고생산성 생물공정 기술, 세포주 개발기술, 단백질 정제기술 등 | |
020117 | 생명공학 산물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기술 |
유전자재조합 단백질의약품․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기술, 바이오식품․바이오화장품․의료기기 등에 대한 안전성․유효성평가기술, 유전자 변형 동식물에 대한 안전성․유효성 평가체계 구축 등 | |
020118 | 바이오칩 개발기술 | DNA chip, protein chip, lab-on-a chip 등 | |
020119 | 기타기초․기반기술 | physiomics, Bio-MEMS, 생체모방기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공학 기초․기반기술 | |
보건의료 관련응용 |
020211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약물전달기술, 신규 질병표지물질 개발, 변환단백질 치료제(치료용 항체, 면역독소 항암제, 치료용 백신)개발, 신약후보물질 초고속 검색기술 등 |
020212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난치성 질환극복을 위한 면역조절기술, 퇴행성 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기술개발, 개인중심의 맞춤치료기술 등 | |
020213 | 생체조직 재생기술 | 세포분화기술, 조직재생유도기술(tissue engineering), 줄기세포 배양, 3차원 세포배양기술 등 | |
020214 | 유전자 치료기술 |
치료 유전자 발굴 및 유전자 전달 벡터개발, 유전자 조절 스위치 개발 및 벡터의 효율 향상, 유전자 치료제 및 DNA 백신 등 | |
020215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신기능 바이오 촉매 기술, 유용 천연물 탐색․활용 기술, 바이오 의약품․소재 개발, 신약 후보물질 활용기술 등 | |
020216 | 한방응용기술 | 한약재 안전성 확보, 한의학의 생명자원 산업화, 생명공학기술의 한방응용기술 등 | |
020217 | 의과학․의공학 기술 | 분자의과학 연구, 의료용 생체공학 기술 등 | |
020218 | 식품생명공학기술 | 기능성 식품개발기술 등 | |
020219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의료정보체계 기술, 달리 분류되지 않는 보건의료 생명공학기술 등 | |
농업․해양․ 환경관련 응용 |
020311 | 유전자 변형 생물체 개발기술 | 농업․해양형질전환 동식물, 발생생물공학, 육종기술, 생물체 복제기술, 곤충이용 기반기술, 형질전환 실험동물 모델개발, 형질전환 동식물을 이용한 단백질 생산기술 등 |
020312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생물 다양성 활용기술, 국가 생물다양성 조사․보전, 농업․해양 생물자원 확보 및 유전체 분석․활용기술, 분자표지를 이용한 작물 및 가축의 분자육종 체계 확립, 해양자원을 이용한 신의약․신소재 탐색 개발 및 활용기술 등 | |
020313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병충해 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 분석기술, 병충해 감염 조기 진단 chip 개발 등 | |
020314 | 환경 생명공학기술 | 환경 친화형 생물소재 개발, Bioremediation 등 | |
020315 | 기타 농업․해양․환경 응용기술 |
실험동물 이용 기술, 고유 식품 개발, 달리 분류되지 않는 농업해양 관련 생명공학기술 |
N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나노소자 및 시스템 |
030111 | 나노전자 소자기술 |
터널링 자성저항을 이용한 RAM 기술개발, nano-CMOS 구조설계․모사․제작 및 대체소재 개발, 자성 TMR 및 TMR 소자집적, 단전자 트랜지스터 개발 등 |
030112 | 나노정보 저장기술 |
나노미터 크기에서 새로운 물리화학적 현상을 발생/감지할 수 있는 기초과학 기술, 소형화된 전자 혹은 자기 소자를 제작할 수 있는 나노공정 기술, 나노소자의 작은 신호증폭에 의한 나노센싱 기술 등 | |
030113 | 가변 파장 광소자기술 | 반도체 나노결정립 형성 및 제어, 자기조립 기술, 나노패턴닝 기술, 다층구조 형성기술, 유무기 하이브리드 기술, 소자 제조 기술 등 | |
030114 | 나노 photonics기술 | 양자우물과 광자결정 결합에 의한 신기능․고성능 LED․LD 구현, 광자결정구조를 활용한 고성능 도파로 및 광병렬회로 구현, 광통신용 광자결정 ADD/DROP 필터, MUX/DEMUX 구현 | |
030115 | 기타 나노소자 및 시스템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나노소자 및 시스템 기술 | |
나노소재 | 030211 | 나노소재기술 (나노분말소재, 광학용 나노소재, 고기능 시너지 소재, 촉매․환경․기능소재에 중점) |
나노구조화 소재(나노분말, 나노결정립 벌크, 나노구조 박막)의 제조 기술, 나노소재의 성능평가 기술개발(물성 측정 및 해석), 나노소재의 활용기술 개발(소자화, 부품화, 시스템화) |
030212 | 기타 나노소재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나노소재 기술 | |
나노 바이오 보건 |
030311 | 나노 바이오 물질 합성 및 분석기술 | 나노바이오물질 합성 기술개발(분자소자 및 분자기계를 위한 핵심소재), 제한된 공간에서의 바이오 분자의 구동 및 측정기술, 나노바이오 물질의 특성 활용기술 개발 등 |
030312 | 의약 약물전달 시스템 | 생체적합성 분해성/비분해성 소재 설계 및 합성기술 개발, 생체소재(나노기공소재, 나노입자, 나노섬유) 기술개발, 생체소재의 생체적합성/물리화학적 특성 평가기술 개발, 약물봉입(선택성 부여) 기술개발 | |
030313 | 기타 나노바이오보건기술 | 달리분류되지 않는 나노바이오 보건기술 | |
나노기반․ 공정 |
030411 | 원자․분자 레벨 물질 조작기술 | 주사탐침현미경을 이용한 원자분해능 분석 기술 및 원자수준의 구조물(양자점․양자선) 형성기술, 원자나 분자수준의 화학반응 유도기술 및 생물고분자 응용기술, 탄소나노튜브 응용기술 등 |
030412 | 나노 측정기술 (100 nm이하) |
파장이 0.1-100nm의 고휘도 전자기파 생성기술, 위치 분해능 100 nm 이하 또는 박막의 깊이 분해능 10nm 이하의 정밀도 확보, SPEM, PEEM, STXM, MCD, HRPES, SRPES 등의 개발 등 | |
030413 | 나노모사기술 | 나노구조물의 first-principles, 분자동력학, 열통계 및 최적화 컴퓨터 모사, 원자 및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multi-scale 복합계산 방법 개발, MD를 위한 force field의 DB 구축 및 대용량 계산기법의 개발, 나노구조와 열, 전자기장, 접촉 등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 모사 | |
030414 | 계면 혹은 표면의 나노구조화기술 | 나노결정입 소재의 입게면 제어기술(구조, 화학(성분), 결정성), 나노입자의 표면구조 및 표면화학 제어기술, 나노구조의 열적 안정화 기술 등 | |
030415 | 나노 신기능 분자합성기술 | 신기능성 나노분자의 설계 및 합성기술(광기능성, 전기감응성, 환경감응성, 유기나노튜브, 에너지/물질의 인식/저장/전달용 등), 나노구조물 기능규명 및 nanolink 기술(유기 template 형성 및 분자전선연결, 생체나노분자와 합성나노분자의 연결, 자기조립체) 등 | |
030416 | 나노패터팅 공정기술 | Pattern fidelity, edge definition 등이 우수한 패터닝 기술개발, 선택적 화학반응을 이용한 극미세 패터닝 기술개발, 화학반응을 통한 고체표면 다층박막 제조기술 개발 | |
030417 | 나노화학 공정기술 | 나노구조체 제조를 위한 화학반응의 전구체 물질 제조기술,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나노박막(패터닝 포함) 제조기술, 나노구조화 반응제어 기술 | |
030418 | 기타 나노기반 공정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나노기반 공정기술 |
S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위성기술 | 040111 | 위성설계 및 개발기술 | 초정밀 및 저궤도 지구 탐사위성・정지궤도 기상위성・통신위성・소형 과학시험위성 설계 및 개발기술, 위성설계・조립・시험 기술, 위성체 구조물 기술, 위성체 자세제어 기술, 위성체 전력장치 기술, 위성체 통신장치 기술 |
040112 | 위성관제기술 | 위성지상국 기술, 관제 시스템 기술 | |
040113 | 차세대 통신위성 탑재체기술 | 위성탑재 관측기기 기술, 위성탑재 통신기기 기술, 우주 핵심기반 기술(열제어 등) | |
040114 | 기타 위성기술 | 탐사위성 기술 등 | |
발사체 기술 |
040211 | 로켓추진 기관기술 |
고체추진기관 기술, 액체 추진기관 기술, 위성 자세제어 추진기 기술 |
040212 | 소형위성 발사체개발기술 | 발사체 구조기술, 추진기관 시스템 종합기술, 로켓 유동방법 및 자세제어 기술 | |
040213 | 발사운용, 통제 및 관제기술 | 발사 관제장치 기술, 로켓 관제 시스템 기술 | |
040214 | 기타 발사체기술 | 대형 우주발사체 기술 등 | |
항공기 기술 |
040311 | 항공기 체계종합 및 비행성능기반기술 | 항공기 체계종합기술, 시험평가 기술 |
040312 | 지능형 자율비행 무인비행기기 시스템(UAV)기술 |
무인기 설계/해석 기술, 무인기 시험평가 기술, 무인기 제작/조립 기술 | |
040313 | 다목적 헬리콥터기술개발 | 헬리콥터 설계/해석 기술, 헬리콥터 시험평가 기술, 헬리콥터 제작/조립 기술 | |
040314 | 기타항공기기술 | 항공 제어장비 기술, 항공 전자보기・통신기기 기술, 항공기 엔진 기술, 비행시뮬레이션 기술 | |
기타 | 040411 | 기타 우주항공기술 | 우주왕복선 기술, 우주정거장 기술, 완제기 시스템 기술, 비행선 기술 등 |
E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환경기반 | 050111 | 대기오염물질 저감 및 제거기술 | 배연탈황・탈질 및 미세먼지를 배출원에서 고효율로 제거시키는 기술, 이동오염원 오염물질 저감기술, 다이옥신・수은 및 기타 중금속과 같은 미량유해물질 제거기술, CO2・NOx・SOx・VOC 제거・처리기술 및 악취제거기술 등 |
050112 | 자연환경 ․오염토양․ 지하수의 정화․ 복원기술 | 오염토양・지하수 정화 및 복원기술(불량매립지 복원기술, 폐광지역 환경복원기술, 유해화합물, 오염지역 정화기술, 자연정화 촉진기술, 오염지하수 확산방지기술), 하천정화 및 호수 부영양화 저감기술, 토양・지하수 복원 요소기술(난분해성 유독물질 정화를 위한 혁신기술・기기・장비 개발), 토양・지하수 통합관리기술(GIS를 이용한 토양지하수 오염 통합관리기술) 등 | |
050113 | 수질오염처리 및 재이용기술 |
질소・인 제거기술, 고도처리기술, 하수처리장 자동화를 위한 Fuzzy 이론의 적용 등 전문가 시스템, 산업폐수 고도처리기술, 정수장・하수처리장 효율향상기술, 오수・분뇨・축산폐수 복합처리기술 등 | |
050114 | 폐기물 처리 및 활용기술 |
폐타이어의 재생기술, 폐기물의 자원화 기술, 폐기물 발생 저감 및 매립지 안정화기술, 소각 및 열분해・용융기술, 음식물 찌꺼기의 퇴비화・사료화를 위한 염분제거기술 등, | |
050115 | 환경관리․정보 및 시스템기술 |
환경데이터 품질관리시스템・폐기물 관리시스템 기술 등 환경 정보화 기술, 미래형 환경 위해 관리 및 저감을 위한 유해화학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통합관리 시스템 기술, 해양생태계 및 해양환경 DB 구축 등 통합관리 기술 | |
050116 | 기타 환경기반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타 환경기반기술 |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에너지 | 050211 | 에너지소재 기술 |
초고온용 구조 및 기능재료 개발 기술, 시너지재료 기술, 연소 및 발전부품 개발 기술, 고기능 미세원료 합성 및 공정제어 기술, 고효율 가공제어 재료 기술, 에너지 변환 및 저장소재 기술 |
050212 | 미활용 에너지 이용기술 | 고효율 폐열회수기술, 장거리 열수송기술, 열공급기술 등 | |
050213 | 고효율 반응분리공정 기술 |
고효율 분리공정(분리소재 및 촉매개발 포함)기술, 반응분리동시공정기술(반응증류, 반응흡착, 막반응, 반응흡수), 고효율 반응기 설계, 막모듈 설계 및 제작기술, 기상 및 액상 흡착기술, 석유화학물질 및 생물활성물질분리를 위한 액상흡착 및 막분리, (석유)화학공정의 배기가스로부터 유효성분 회수 및 환경유해성분 제거기술, 수소․CO․합성가스․ETBE․카르복실산 제조 반응분리공정기술 | |
050214 | 연료전지기술 | 용융탄산염형(MCFC)․고분자형(PEMFC)․고체산화물형(SOFC)․직접메탄올형(DMFC)․초소형 실리콘(μ-Si FC) 연료전지, 기타 연료전지 기술 | |
050215 | 수소생산 이용기술 | 화석연료로부터 수소제조 기술 고효율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이산화탄소 집중 분리), 자연에너지/대체전원을 이용한 물분해 수소 생산기술, 저장․직접(IC엔진 등)/간접연소 등의 이용 관련기술, 바이오매스로부터 열화학적 수소 생산, 기타 신개념의 수소 제조/저장/이용 기술 등 | |
050216 | 바이오에너지 기술 |
바이오 연료(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생산기반기술 및 공정 개발, 폐수․음식 쓰레기 등에서부터 메탄가스 생산(혐기소화) 및 매립지 가스 이용, 바이오 수소 생산공정 개발 등 | |
050217 | 에너지저장 이용기술 | 전기화학적인 에너지저장 원리를 이용하는 차세대 기술, 분자구조가 제어된 에너지저장용 첨단소재 기술, 마이크로미터 이하급 초정밀 제조 기술, 무공해 에너지저장 시스템으로서의 활용 등 | |
050218 | 기타 에너지기술 | 석유/석탄/가스 에너지 기술, 에너지절약기술, 전기발전기술, 2차전지(리튬전지 등)기술, 태양광/풍력/소수력/지열/해양에너지 발전기술 등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타 에너지기술 | |
청정생산 | 050311 | 청정원천공정 기술 |
미생물전환공정․건식세정․초임계 활용공정 기술, 청정생산체제구축을 위한 공정진단 및 관리개선 기술, 청정생산을 위한 공정모사 및 제어기술, 환경친화형생산체제구축을 위한 생산공정의 전 과정 평가기술 등 |
050312 | 환경친화형소재 (Eco-material) 개발기술 |
난분해성 플라스틱 대체 소재 (천연소재포함), 장수명 부품소재개발, 유해 납이 포함되지 않은 납땜 등 | |
050313 | 유해성 원부재료 대체기술 | 염소․phosgene 등 대체기술, 유해용매 대체기술, 수용성 용매․페인트․무기질시멘트, 산․알칼리 대체공정기술 등 | |
050314 | 공정내재자원화 (Internal Recycle) 기술 |
멤브레인을 활용하여 폐수중의 염료회수 및 재사용, water pinch 기술을 사용한 공정폐수 재사용, 재사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 | |
050315 | 기타 청정생산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타 청정생산기술 | |
해양환경 | 050411 | 해양환경 관리기술 | 해양환경 감시 및 예측기술․해역별 종합감시 관리체계․해양환경피해 저감기술․해양환경 감시장비 제작 및 계측기술 등, 연안오염 감시 및 관리기술․첨단기법(원격탐사, 해양부이, 계류)에 의한 입체감시기법 시험개발, 적조방제 및 저감기술 등 |
050412 | 연안생태계 복원기술 | 연안 생태계 보전 및 관리 기술․연안역의 친환경적 이용 및 활용기술․유해물질(유류포함) 관리 및 방제기술, 해상오염물 제거 및 방제기술․연안습지(갯벌) 재생 및 연안생태계 복원 기술 등 | |
050413 | 기타 해양환경기술 | 달리 분류되지 않는 해양환경 기술 |
CT 분야 세부기술 분류표
구 분(중분류) | 코드값 | 기술명(소분류) | 분 류 기 준 |
문화 컨텐츠 |
060111 |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응용기술 | 가상 스튜디오 기술, 스마트 스튜디오 기술, 실감 미디어 공간설계 구축 기술, 실시간 지능형 행위 시뮬레이션/애니메이션 기술 |
060112 | 디지털영상․음향 및 디자인기술 | 미디어 아트, 시각화 기술, 문화예술 전시 기술 분야 | |
060113 | 디지털 컨텐츠 저작도구 | 디지털 컨텐츠 유통을 위한 모델 개발,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의 워터마킹 기술, Rich Media 컨텐츠 식별체계 및 관리기술 | |
060114 | 게임엔진 제작 및 기반기술 | 무선인터넷 게임용 분산처리 엔진, 지능형 게임 캐릭터 엔진, 동작 애니메이션 처리 엔진, 실시간 랜더링 엔진 | |
060115 | 기타 문화컨텐츠기술 | 기타 분류되지 않은 문화컨텐츠 기술 | |
생활문화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등) |
060211 |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기술 | 인터넷 세대 문화․윤리․가치 체계, 사이버 스페이스 경영에 관한 방향, 사이버 환경에서의 표현의 자유․검열․사이버 범죄․정보불평 등 구조의 과정 |
060212 | 인터엑티브 미디어기술 | 텍스트 자동분석을 통한 여론조사, 모바일 커뮤니케이션관련 컨텐츠 구성 및 제공, 인터넷 사이트 실용성(usability)분석 및 평가, 인터액티브 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광고와 효과 측정기술 | |
060213 | 제품디자인기술 | 인간중심의 제품디자인 개발, 제품디자인 평가 기술, 디자인에의 감성공학 응용 기술, 제품 안전관련 기술 | |
060214 | 기타 생활문화기술 | 기타 분류되지 않은 생활문화 기술 | |
문화유산 | 060311 | 문화원형 복원기술 | 문화유적의 탐사발굴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원형추정 및 복원기술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저장 및 관리에 디지털 기술을 통합․연계, 유형문화재(벽화, 미술품, 공예품, 석탑, 불상, 건축물, 구원 등) 및 무형문화재(소리, 춤, 기예 등) 디지털 복원기술 |
060312 | 기타 문화유산기술 | 디지털 문서보관소 구축, 국가문화자산 디지털화,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사이버 박물관 구축, 디지털 관광상품개발 등 달리 분류되지 않은 문화유산 기반기술 |
<기타> 분야
코드값 | 분 류 기 준 |
070000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