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세방화의 개념과 국내 상권 활성화 사례를 살펴보려고 해요.
세계화와 지역화는 마치 상반되는 흐름처럼 보이지만, 오늘날의 시장과 문화는 이 둘의 교차점에서 더욱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1. 개념 정의 및 배경
글로컬라이제이션이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를 결합한 개념으로, 글로벌한 전략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현지화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용어의 기원
- 이 용어는 영국의 사회학자 롤랜드 로버트슨(Roland Robertson)이 학술적으로 제안한 개념입니다
-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소니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가 경영 전략으로 활용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 세계적 기준을 유지하면서도 현지 문화와 감수성에 맞춤화하는 전략을 핵심으로 합니다
2. 이론적 구조 및 프레임워크
기본 공식
글로벌(Global) + 로컬(Local) = 글로컬(Glocal)
전략적 접근
글로컬화는 단순한 현지화를 넘어서 다음과 같은 다층적 접근을 포함합니다:
- 소비자 태도 분석: 지역별 소비 패턴과 선호도 연구
- 기업 전략 수립: 글로벌 브랜드 정체성 유지와 현지 적응의 균형
- 문화 변용 과정: 글로벌 문화와 로컬 문화의 상호작용 연구
3. 글로벌 기업의 성공 사례
태양의 서커스(Cirque du Soleil)
- 전략: 세계적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면서 각 지역의 문화 요소를 공연에 통합
- 사례: 중국 공연 시 중국 신화 활용, 한국 공연 시 전통놀이 요소 접목
- 성과: 지역 관객의 정서적 몰입도 증가와 브랜드 친밀감 형성
CJ 비비고(bibigo)
- 기본 전략: 비빔밥이라는 한국 전통 음식을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
- 현지화 방식: 국가별 입맛과 식재료 선호도에 맞춘 메뉴 개발
- 중국: 두부 등 현지 선호 재료 활용
- 일본: 샐러드 형태로 건강식 컨셉 강화
- 성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와 현지 시장 적응의 성공적 결합
4. 국내 정책 사례: 세방화 상권 프로젝트
추진 배경 및 목표
중소벤처기업부 주도로 추진되는 이 프로젝트는 지역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한 글로컬 상권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 홍대·서교동과 같은 성공적인 상권 모델을 전국 지역에 확산시키고자 합니다.
지원 규모 및 내용
상권창출팀
- 지원 기간: 5년
- 지원 규모: 최대 155억 원 (첫해 55억 원)
- 선정 팀: 3개 팀
지역브랜드팀
- 지원 기간: 2년
- 지원 규모: 최대 10억 원 (첫해 5억 원)
- 선정 팀: 5개 팀
대상 지역 및 요건
- 점포 수 30개 이상 보유 지역
- 자율상권구역 등으로 지정된 지역
- 지역가치창출가(로컬 크리에이터) 활동 가능 지역
실행 사례 및 성과
현재 통영, 전주, 수원 등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지역 창업자들이 콘텐츠와 상권을 연계하여 외국인 워케이션 및 체험형 관광지로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세방화, 즉 글로벌 전략에 지역 맞춤을 더하는 글로컬라이제이션은 단순한 마케팅 전략을 넘어, 문화적 공감과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현대적 패러다임입니다.
일본 소니 창업자 모리타 아키오가 이를 언급한 이후, Cirque du Soleil과 CJ 비비고 등이 문화 융합으로 성공을 보여줬고, 국내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로 지역경제를 ‘글로벌화’하는 실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전 세계 기업과 지역이 조화롭게 성장하는 데 중요한 방향타로 작용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 중소벤처기업부 (2024). "지역을 살리는 세방화(글로컬) 상권 사업 신설". 정책브리핑.
- 위키백과 (2025). "세방화". 위키백과 백과사전.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15).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과 지역발전 연구보고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글로컬 마케팅의 두 얼굴 - 지역 서사를 활용한 한류 마케팅의 정체성 확보"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