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데이터 분석의 기초! 측정척도 4가지 종류와 특징 완벽 정리_명목척도 서열척도 등간척도 비율척도

by [MAVERICK] 2025. 8.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데이터 분석에서 꼭 알아야할 4가지 측정척도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데이터 분석을 시작하려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측정척도(Scale of Measurement)입니다.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다루고 있는지 알아야 올바른 분석 방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스탠리 스미스 스티븐스(Stanley Smith Stevens)가 1946년 제시한 측정척도의 4가지 유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명목척도: 이름표들 (분류)
서열척도: 1,2,3등 메달 (순서)
등간척도: 온도계 (동일한 간격)
비율척도: 저울 (완전한 측정)

실무에서의 활용법
1. 올바른 통계 분석 선택

명목척도: 카이제곱 검정, 빈도분석
서열척도: 순위상관분석, 비모수 검정
등간척도: t검정, 분산분석 (조건부)
비율척도: 모든 모수 통계 분석

2. 시각화 방법

명목/서열척도: 막대그래프, 원그래프
등간/비율척도: 히스토그램, 상자그림, 산점도

3. 주의사항

서열척도를 등간척도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음
리커트 척도의 경우 연구자에 따라 서열 또는 등간척도로 해석
척도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한 후 분석 방법 결정

측정척도란 무엇인가?

측정척도는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측정하고 분류하는지를 나타내는 체계입니다. 각 척도마다 수행할 수 있는 수학적 연산과 통계 분석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명목척도 (Nominal Scale)

개념

명목척도는 가장 기본적인 측정 수준으로, 분류나 범주화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숫자가 부여되더라도 그 숫자 자체에는 의미가 없고, 단순히 구별을 위한 라벨 역할만 합니다.

특징

  • 동등성만 판단 가능 (같다/다르다)
  • 순서나 크기 비교 불가능
  • 사칙연산 불가능
  • 최빈값(Mode)만 의미 있음

예시

  • 성별: 남성(1), 여성(2)
  • 혈액형: A형, B형, AB형, O형
  • 거주지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 브랜드 선호도: 삼성, LG, 애플
  • 학과: 경영학과, 컴퓨터공학과, 심리학과

실제 예제

설문조사에서 "선호하는 커피 브랜드는?"
1) 스타벅스  2) 이디야  3) 투썸플레이스  4) 기타

→ 여기서 1, 2, 3, 4는 단순한 구분 코드일 뿐
   1+2=3이라고 해서 "스타벅스+이디야=투썸플레이스"가 되지 않음

2. 서열척도 (Ordinal Scale)

개념

서열척도는 명목척도의 분류 기능에 순서의 개념이 추가된 척도입니다. 항목들 간의 순위는 매길 수 있지만, 그 간격이 동일하다고 보장할 수 없습니다.

특징

  • 분류 + 순서 판단 가능
  • 크기 비교 가능하지만 간격은 불명확
  • 사칙연산 부적절
  • 중위값(Median), 최빈값 사용 가능

예시

  • 학력: 초졸 < 중졸 < 고졸 < 대졸 < 대학원졸
  • 군계급: 이등병 < 일등병 < 상등병 < 병장
  • 만족도: 매우 불만족 < 불만족 < 보통 < 만족 < 매우 만족
  • 성적등급: F < D < C < B < A
  • 경제 수준: 하 < 중하 < 중 < 중상 < 상

실제 예제

고객 만족도 조사 결과:
1점(매우 불만) - 5명
2점(불만) - 10명
3점(보통) - 20명
4점(만족) - 35명
5점(매우 만족) - 30명

→ 4점이 3점보다 만족도가 높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4점과 3점의 차이 = 3점과 2점의 차이라고 단정할 수 없음

3. 등간척도 (Interval Scale)

개념

등간척도는 서열척도에 동일한 간격의 개념이 추가된 척도입니다. 항목들 간의 차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지만, 절대적인 영점(0)이 없어 비율 비교는 불가능합니다.

특징

  • 분류 + 순서 + 동일한 간격
  • 덧셈, 뺄셈 가능
  • 곱셈, 나눗셈 부적절 (의미 있는 0점이 없음)
  • 평균, 표준편차 계산 가능

예시

  • 온도: 섭씨 온도, 화씨 온도
  • IQ 점수: 100, 110, 120
  • SAT 점수: 800점, 1200점, 1600점
  • 년도: 2020년, 2021년, 2022년
  • Likert 척도: 7점 척도 설문

실제 예제

온도 측정:
어제: 10℃, 오늘: 20℃, 내일: 30℃

→ 오늘은 어제보다 10℃ 높다 (간격 계산 가능)
→ 하지만 "오늘이 어제보다 2배 뜨겁다"고 할 수 없음
   (0℃가 절대적 무온도가 아니기 때문)

4. 비율척도 (Ratio Scale)

개념

비율척도는 등간척도에 **절대적인 영점(0)**이 추가된 가장 완전한 형태의 척도입니다. 모든 수학적 연산이 가능하며, 비율 비교도 의미가 있습니다.

특징

  • 분류 + 순서 + 동일한 간격 + 절대적 영점
  • 모든 사칙연산 가능
  • 비율 비교 가능
  • 모든 통계량 계산 가능

예시

  • 키, 몸무게: 170cm, 70kg
  • 나이: 25세, 30세
  • 소득: 300만원, 500만원
  • 거리: 100km, 200km
  • 시간: 30분, 60분

실제 예제

두 사람의 몸무게:
A: 50kg, B: 100kg

→ B는 A보다 50kg 무겁다 (간격)
→ B는 A보다 2배 무겁다 (비율)
→ 0kg는 절대적인 무게 없음을 의미

연봉 비교:
신입사원: 3000만원, 부장: 6000만원
→ 부장은 신입사원보다 정확히 2배 높은 연봉

척도별 비교표

척도 분류 순서 동일간격 절대영점 가능한 연산 대표값
명목척도 =, ≠ 최빈값
서열척도 =, ≠, >, < 최빈값, 중위값
등간척도 +, -, =, ≠, >, < 최빈값, 중위값, 평균
비율척도 +, -, ×, ÷, =, ≠, >, < 모든 통계량

 


실무에서의 활용법

1. 올바른 통계 분석 선택

  • 명목척도: 카이제곱 검정, 빈도분석
  • 서열척도: 순위상관분석, 비모수 검정
  • 등간척도: t검정, 분산분석 (조건부)
  • 비율척도: 모든 모수 통계 분석

2. 시각화 방법

  • 명목/서열척도: 막대그래프, 원그래프
  • 등간/비율척도: 히스토그램, 상자그림, 산점도

3. 주의사항

  • 서열척도를 등간척도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많음
  • 리커트 척도의 경우 연구자에 따라 서열 또는 등간척도로 해석
  • 척도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한 후 분석 방법 결정

일상 비유법으로 기억하기

"이름 → 순위 → 온도 → 키"

  • 명목척도: 이름 (김철수, 이영희 - 그냥 구분만)
  • 서열척도: 순위 (1등, 2등, 3등 - 순서는 알지만 간격 모름)
  • 등간척도: 온도 (10℃, 20℃ - 간격은 같지만 2배 뜨겁다고 할 수 없음)
  • 비율척도: (160cm, 180cm - 모든 계산 가능, 진짜 0cm 존재)

측정척도의 4가지 유형을 제대로 이해하면 데이터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통계 분석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초보자라면 이 개념을 확실히 익혀두는 것이 향후 분석 작업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데이터 분석의 첫 걸음은 데이터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됩니다. 오늘 배운 측정척도 개념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