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심리상담관련 자격시험 기출 문제 속 주요 통계분석 기법 | t-검정부터 구조방정식모델까지

by [MAVERICK] 2025. 9. 10.
반응형

1. 분산분석 (ANOVA)

3개 이상 집단 비교의 필수 기법
F값, 사후검정, 상호작용효과

2. t-검정 (t-test)

2개 집단 비교의 기본 (독립표본/대응표본)
Cohen's d 효과크기

3. 공분산분석 (ANCOVA)

혼입변인 통제하며 집단 비교
공변인(covariate) 개념

4. 회귀분석 (Regression)

예측 및 관계 탐색
R², β 계수, 다중공선성

5. 신뢰도 (Reliability)

Cronbach's α (.70/.80/.90 기준)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6. 정규분포성

모수통계의 핵심 가정
Shapiro-Wilk 검정, 위반 시 비모수 전환

7. 효과크기 (Effect Size)

실제적 유의성 판단
Cohen's d: .2(소)/.5(중)/.8(대)

8. 비모수 검정

가정 위반 시 대안
Mann-Whitney U, Wilcoxon, Kruskal-Wallis

9. 카이제곱 검정 (Chi-square)

범주형 변인의 관련성
독립성 검정, 적합도 검정

10.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EFA, CFA, KMO값, 요인적재량

 

안녕하세요! 오늘은 심리상담관련 자격시험 기출 문제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요 통계분석 기법들을 살펴보려고 해요. 사실 임상심리사 자격시험뿐만 아니라 측정이 필요한 많은 영역에서 다뤄지고 있는 기법들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씩 살펴보시면 대략 통계분석 기법에 관한 틀을 잡으실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1. t-검정 (t-test)

개념

두 집단 간 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통계기법

종류

  • 일표본 t-검정: 한 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과 다른지 검증
  • 독립표본 t-검정: 두 독립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
  • 대응표본 t-검정: 동일 집단의 사전-사후 비교

가정

  • 정규분포성
  • 독립성
  • 등분산성 (독립표본의 경우)

임상 적용 예시

  • 치료 전후 우울 점수 비교 (대응표본)
  •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의 불안 수준 비교 (독립표본)

2. 분산분석 (ANOVA: Analysis of Variance)

개념

3개 이상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한 번에 검증하는 기법

일원 분산분석 (One-way ANOVA)

  • 목적: 하나의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
  • F값: 집단 간 변량 / 집단 내 변량
  • 사후검정: Tukey HSD, Scheffe, Bonferroni 등

이원 분산분석 (Two-way ANOVA)

  • 목적: 두 독립변인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 검증
  • 주효과: 각 독립변인의 개별적 영향
  • 상호작용효과: 두 독립변인이 함께 작용하는 효과

반복측정 분산분석 (Repeated Measures ANOVA)

  • 목적: 동일한 피험자를 여러 시점에서 측정한 자료 분석
  • 구형성 가정: Mauchly's 검정으로 확인

가정

  • 정규분포성
  • 독립성
  • 등분산성
  • 구형성 (반복측정의 경우)

임상 적용 예시

  • 인지행동치료, 정신분석치료, 약물치료의 효과 비교
  • 성별과 치료방법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원 분산분석)
  • 치료 과정에서 시간에 따른 증상 변화 (반복측정)

3. 공분산분석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개념

집단 간 비교 시 혼입변인의 영향을 통제하는 분석기법

핵심 특징

  • 공변인(Covariate): 종속변인과 상관이 있지만 통제하고 싶은 변인
  • 조정된 평균: 공변인의 영향을 제거한 후의 평균
  • 검증력 증가: 오차분산을 줄여 검증력이 향상됨

가정

  • ANOVA의 모든 가정
  • 공변인과 종속변인 간 선형관계
  • 회귀선의 동질성 (regression homogeneity)

임상 적용 예시

  • 치료 효과 비교 시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
  • 연령, 교육수준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집단 간 비교

4.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

단순회귀분석

  • 목적: 하나의 예측변인으로 결과변인 예측
  • 회귀식: Y = a + bX
  • 결정계수(R²): 설명되는 변량의 비율

다중회귀분석

  • 목적: 여러 예측변인으로 결과변인 예측
  • 표준화 계수(β): 각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
  • 다중공선성: VIF > 10이면 문제

위계적 회귀분석

  • 목적: 변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기여도 확인
  • R² 변화량: 각 단계에서 추가된 설명력

임상 적용 예시

  •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요인들 탐색

5. 카이제곱 검정 (Chi-square test)

개념

범주형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기법

종류

  • 적합도 검정: 관찰빈도가 기대빈도와 일치하는지
  • 독립성 검정: 두 변인이 독립적인지 검증

가정

  • 각 셀의 기대빈도 ≥ 5
  • 관찰값들의 독립성

임상 적용 예시

  • 성별과 진단 범주의 관련성
  • 치료방법과 회복 여부의 관련성

6. 비모수 검정 (Non-parametric tests)

Mann-Whitney U 검정

  • 목적: 두 독립집단의 분포 비교 (t-검정의 비모수 대안)
  • 사용조건: 정규분포 가정을 만족하지 않을 때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 목적: 대응표본의 중위수 차이 검증 (대응표본 t-검정의 대안)

Kruskal-Wallis 검정

  • 목적: 3개 이상 집단의 분포 비교 (일원 분산분석의 대안)

Friedman 검정

  • 목적: 반복측정 자료의 비모수 분석

7.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α (크론바흐 알파)

  • 목적: 내적 일치도 측정
  • 해석: .70 이상 양호, .80 이상 우수
  • 공식: α = k/(k-1) × (1 - Σσᵢ²/σₜ²)

검사-재검사 신뢰도

  • 목적: 시간적 안정성 측정
  • 방법: 동일한 검사를 시간 간격을 두고 실시

8. 타당도 분석 (Validity Analysis)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 탐색적 요인분석(EFA): 잠재 요인 구조 탐색
  • 확인적 요인분석(CFA): 이론적 모델 검증
  • KMO 값: .60 이상이면 적절
  • Bartlett 검정: p < .05이면 요인분석 적절

상관분석을 통한 타당도

  • 수렴타당도: 유사 개념과 높은 상관
  • 변별타당도: 다른 개념과 낮은 상관

9. 다변량 분석 (Multivariate Analysis)

MANOVA (다변량 분산분석)

  • 목적: 여러 종속변인을 동시에 분석
  • Wilks' Lambda: 다변량 검정통계량
  • 사용조건: 종속변인들 간 상관이 있을 때

판별분석 (Discriminant Analysis)

  • 목적: 집단 분류 및 예측
  • 정준상관: 판별함수와 집단변인 간 상관

10. 구조방정식 모델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개념

잠재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고급 통계기법

적합도 지수

  • 절대적합지수: χ², GFI, RMSEA
  • 증분적합지수: NFI, CFI, TLI
  • 간명적합지수: PNFI, PCFI

임상 적용

  • 심리적 구인들 간의 복합적 관계 모델링
  • 치료 메커니즘 검증

시험에서 자주 나올 수 있는 문제 유형

문제 유형 1: 적절한 분석방법 선택

문제: 한 연구자가 세 가지 치료법(A, B, C)의 효과를 비교하려고 한다. 각 집단은 15명씩이고, 치료 전후의 불안점수를 측정했다. 단, 집단별 사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적절한 분석방법은?

정답: ANCOVA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 오답들:

  • 일원 ANOVA (사전점수 차이 무시)
  • 독립표본 t-검정 (집단이 3개)
  • 대응표본 t-검정 (독립집단 설계)

문제 유형 2: 결과 해석

문제: 다음 ANOVA 결과를 해석하시오.

F(2,57) = 8.45, p = .001, η² = .23
Tukey HSD: 집단A > 집단B = 집단C

 

정답 해석:

  • 3개 집단 간 유의한 차이 존재 (p < .05)
  • 큰 효과크기 (η² > .14)
  • 집단A가 나머지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음
  • 집단B와 C는 차이 없음

문제 유형 3: 가정 위반 시 대처

문제: 두 집단 비교에서 Shapiro-Wilk 검정 결과 p = .023이었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정답: Mann-Whitney U 검정 사용 이유: 정규분포 가정 위반 → 비모수 검정으로 전환

문제 유형 4: 신뢰도 해석

문제: 새로 개발한 척도의 Cronbach's α = .68이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하고 개선할 것인가?

정답:

  • 해석: 기준치(.70) 미달, 신뢰도 부족
  • 개선방안: 문항-전체 상관이 낮은 문항 제거, 문항 수 증가 고려

문제 유형 5: 효과크기 계산

문제: t(28) = 2.45, p = .021일 때 Cohen's d는?

계산: d = t × √(2/n) = 2.45 × √(2/30) = 2.45 × 0.258 = 0.63 해석: 중간 크기 효과 (.5 < d < .8)

실제 임상연구 예시

  • 치료 효과 연구: 사전-사후 설계 → 대응표본 t-검정 또는 반복측정 ANOVA
  • 집단 비교 연구: 치료집단 vs 통제집단 → 독립표본 t-검정 또는 ANOVA
  • 예측 연구: 위험요인들로 결과 예측 → 다중회귀분석
  • 도구 개발: 심리검사 개발 →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중요한 개념들

α 수준과 p-값

  • α = .05: 제1종 오류 확률 5%로 설정
  • p < .05: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
  • p < .01, p < .001: 더 강한 유의성

효과크기 (Effect Size)

  • Cohen's d: .2(소), .5(중), .8(대)
  • eta-squared: .01(소), .06(중), .14(대)
  • 통계적 유의성 ≠ 실제적 유의성

검증력 (Power)

  • 검증력 = 1 - β (제2종 오류)
  • 적정 검증력: .80 이상
  • 표본크기와 정비례 관계

 

 

지금 살펴본 통계기법들을 쉽게 이해하는 방법을 찾고 계신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보세요.^^

심리상담관련 자격시험 연구방법, 통계 영역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 알아보기

출처: https://firebird.tistory.com/609 [Like it! English:티스토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