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유리수(Rational Numbers)와 무리수(Irraitional Numbers)의 영어 표기, 어원, 정의, 예시로 한눈에 비교하기

by [MAVERICK] 2025. 10. 4.
반응형

유리수 (Rational Numbers)
영어 표기:rational number

어원: 라틴어 ratio (비율, 비례) →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

정의: 정수의 비(분수)로 표현 가능한 수

예시: 1, -3, 0.5, ⅔, -8, 0.333...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 포함)





무리수 (Irrational Numbers)
영어 표기:irrational number

어원:in- (not) + rational → "유리하지 않은 수"

정의: 정수의 비로 표현할 수 없는 수

즉, 분수 형태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는 수

소수로 표현하면 무한히 계속되며, 반복되지 않음

예시: √2, π, e, √3, φ (황금비) 등, 1.4142135… (끝없이 가고, 반복 없음)

 

무리수유리수는 수학에서 실수를 나누는 매우 중요한 분류입니다. 이 둘은 영어 표기에서도 구분이 명확합니다.

 

유리수 (Rational Numbers)

영어 표기:rational number

어원: 라틴어 ratio (비율, 비례) → "비로 나타낼 수 있는 수"

정의: 정수의 비(분수)로 표현 가능한 수

예시: 1, -3, 0.5, ⅔, -8, 0.333...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 포함)

 

 

무리수 (Irrational Numbers)

영어 표기:irrational number

어원:in- (not) + rational → "유리하지 않은 수"

정의: 정수의 비로 표현할 수 없는 수

즉, 분수 형태로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는 수

소수로 표현하면 무한히 계속되며, 반복되지 않음

예시: √2, π, e, √3, φ (황금비) 등, 1.4142135… (끝없이 가고, 반복 없음)

 

 

📊 비교 정리표:

구분 영어 표기 수학적 정의 예시
유리수 rational number 두 정수의 비로 표현 가능 ½, -3, 0.25, 0.333…
무리수 irrational number 분수로 표현 불가능, 무한 비순환 소수 √2, π, e, √5 등

 

 

 

🔍 기억 팁:

Rational = "Ratio" → 분수 가능!

Irrational = "Not Rational" → 분수 불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