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질적연구 근거이론 정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개념과 사례 설명_영양교사 직무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2

by [MAVERICK] 2025. 10. 8.
반응형

영양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례를 통해서 개방코딩 - 축코딩 - 선택코딩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전체 과정을 하나의 사례를 중심으로 개방코딩 → 축코딩 → 선택코딩 순서로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볼텐데요, 직무 스트레스를 겪는 영양교사의 사례를 사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 주제: “영양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인터뷰 원자료(예시)

“학교에서 조리종사원들과 대화하는 게 너무 힘들어요. 제가 뭘 말해도 대답도 없고, 자기들끼리 무시하는 것 같아요. 그런 일이 반복되다 보니 제가 이 직무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처럼 느껴져요. 점점 자존감도 떨어지고, 퇴근하면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누워만 있게 돼요.”


1단계: 개방코딩 (Open Coding)

자료를 문장 단위로 쪼개어 중요한 개념(코드)을 도출합니다. 유사한 개념들을 묶어 하위범주 → 상위범주(범주)로 구성합니다.

인터뷰 내용 부분 도출 코드 하위범주 상위범주(범주)
“대화하는 게 너무 힘들어요” 의사소통 어려움 소통 단절 관계 갈등
“자기들끼리 무시하는 것 같아요” 무시당함 인정받지 못함 관계 갈등
“제가 이 직무에 어울리지 않는 사람처럼 느껴져요” 자기 부적절감 정체성 혼란 직무 정체성 위기
“자존감도 떨어지고” 자존감 저하 자기 평가 저하 정서적 소진
“아무 생각 없이 누워만 있게 돼요” 무기력함, 피로감 에너지 고갈 정서적 소진
 

개방코딩 결과 범주

  • 관계 갈등
  • 직무 정체성 위기
  • 정서적 소진

2단계: 축코딩 (Axial Coding)

축코딩에서는 개방코딩에서 도출된 범주들 사이의 인과관계와 맥락을 분석합니다. 

구성 요소 내용 및 범주
인과조건 관계 갈등 (조리종사원과의 소통 실패, 무시당함)
중심현상 정서적 소진 (자존감 저하, 무기력감)
맥락조건 학교 내 위계적 구조, 영양교사의 낮은 위상
중재조건 개인 성격(내향적), 관리자 지원 부족
전략 회피, 감정 억제, 자기탓하기
결과 직무 회의감, 소진 심화, 이직 고려
 

 여기서 중심현상정서적 소진이며, 이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결과가 범주 간의 관계로 설명됩니다.


3단계: 선택코딩 (Selective Coding)

이제 중심 개념(핵심범주)을 선정하고, 관련된 범주를 통합해 하나의 이야기(스토리라인)로 만듭니다.

 

핵심범주: 관계 갈등에 기반한 정서적 소진의 심화

 

선택코딩을 통한 이론적 설명 (스토리라인 예시):

“영양교사는 조리종사원과의 반복적인 관계 갈등 속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소외감을 경험한다. 이는 직무에 대한 부적절감과 자존감 저하로 이어지며, 결국 정서적 소진을 유발한다. 학교 내 위계적 구조와 관리자 지원 부족은 이러한 갈등을 더 악화시키고, 영양교사는 소진을 해소하기보다는 감정을 억누르며 자기탓으로 돌리는 회피적 전략을 취하게 된다. 그 결과 직무에 대한 회의감과 이직 충동이 점차 증가하게 된다.”

 

요약

단계 핵심 작업 결과물
개방코딩 텍스트 → 코드 → 하위·상위범주화 관계 갈등, 정서적 소진, 직무 위기 등
축코딩 범주 간 관계 분석 (조건모형 활용) 중심현상: 정서적 소진 + 맥락 구조
선택코딩 핵심범주 중심으로 이론 통합 스토리라인 + 개념적 모델
 

 
 

스토리라인

스토리라인(Storyline)은 무엇인가?

  • 선택코딩 단계에서 도출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다른 범주들과의 관계를 이야기 구조로 풀어낸 분석 결과의 종합입니다.
  • 즉,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형성된 이론적 이야기’**로,
    “어떻게 해서 그런 경험이 생겨났는가?” 를 시간적 흐름 또는 인과적 구조로 설명합니다.

결론과의 차이

항목 스토리라인 결론(논문의 결론 부분)
위치 선택코딩 결과로, 본론 후반에 기술 논문 마지막에 위치함
내용 성격 참여자의 경험을 이론으로 구조화한 이야기 연구 질문에 대한 요약적 응답 및 함의
초점 핵심범주 중심의 인과 관계와 맥락 설명 결과 요약, 의의, 한계, 제언 포함
 

따라서 스토리라인은 “결론의 핵심 근거”가 되며, ‘분석 결과의 이야기적 종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스토리라인을 요약하고, 해석하고, 외부 세계와 연결하는 작업입니다.

 

스토리라인의 분량은?

 

일반적인 분량:

  • A4 1쪽 내외 (약 500~800자) 정도가 적절합니다.
  • 단독으로 제시되기도 하고, 선택코딩 결과 해설의 일부로 포함되기도 합니다.
  • 긴 질적 논문에서는 중심현상과 전략, 결과 등을 시간 흐름에 따라 2~3쪽 정도로 전개하기도 합니다.

중요한 건 ‘완결성’:

  • 길이보다는 다음 요소들을 충실히 담는 것이 핵심입니다:
    1. 중심현상이 무엇인지
    2. 그에 영향을 미친 조건들(인과, 맥락, 중재조건)이 무엇인지
    3. 참여자가 어떻게 대응했는지(전략)
    4. 결과가 무엇이었는지

 

 

예시 (간단형 스토리라인, 약 350자)

“영양교사는 조리종사원들과의 반복된 관계 갈등 속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소외감을 경험한다. 이는 직무에 대한 자아정체성의 혼란과 자존감 저하로 이어지고, 점차 정서적 소진 상태에 빠진다. 학교 내 위계적 구조와 관리자 지원의 부재는 이를 더욱 심화시키며, 영양교사는 감정을 억누르거나 회피하는 전략으로 대응하지만 결과적으로 직무 회의감과 이직 충동으로 연결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