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콩글리쉬 예시 모음과 올바른 영어표현 3/3

by [MAVERICK] 2025. 3.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콩글리쉬에 관해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콩글리시(Konglish)는 한국어와 영어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잘못된 영어 표현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콩글리시 예시와 올바른 영어표현을 안내해 드릴게요.

시리지는 총 3개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대략 시리즈별로 봤을 때 15개 정도 안내가 되고요, 총 50개 정도 추려봤습니다.

1탄은 1. 기어(gear) ~ 15. 베란다(veranda), 2탄은  16. 블랙박스(blackbox) ~ 30. 와이퍼(wiper), 3탄은 31. 워셔액(washer) ~ 50. 카페(café) 수록돼 있습니다.

 


31. 워셔액(washer) - windshield washer fluid

워셔액은 자동차의 앞유리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입니다. 한국에서는 워셔액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windshield washer fluid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The windshield washer fluid is empty. I need to refill it.

 

 

32. 주유구(gas nozzle) - gas filler nozzle

자동차 연료를 넣는 구멍을 한국에서는 '주유구'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gas filler nozzle" 또는 "fuel filler cap"으로 표현됩니다.

예: Check where the gas filler nozzle is located.

 

 

33. 츄리닝(training) - sweat suit

츄리닝은 운동복을 뜻하는 말로, 영어권에서는 "sweat suit"나 "tracksuit"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츄리닝'은 일본식 영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예: Let’s wear a sweat suit and go out comfortably today.

 

 

 

34. 카센터(car center) - car repair shop

카센터는 자동차를 수리하는 곳입니다. 한국에서는 카센터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car repair shop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My car had an issue, so I took it to the car repair shop.

 

 

35. 카오디오(car audio) - car audio system

카오디오는 자동차의 음악을 듣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입니다. 한국에서는 카오디오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car audio system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The car audio system is broken, so I can't listen to music.

 

 

36. 컨닝(cunning) - cheating

컨닝은 시험이나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컨닝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cheating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Cheating on an exam is absolutely unacceptable.

 

 

37. 콘센트(concent) - power outlet

전기 플러그를 꽂는 곳을 한국에서는 '콘센트'라고 부르지만, 영어권에서는 "power outlet" 또는 "electrical outlet"로 부릅니다.

예: You need to plug the charger into the power outlet.

 

 

38. 콜라(coke) → soda

한국에서는 모든 탄산음료를 ‘콜라’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영어권에서는 특정 브랜드인 Coca-Cola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soda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예: I drank a soda with my lunch.

 

 

39. 클락션(clockion) - horn

클락션은 자동차의 경적을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클락션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horn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You should honk the horn when it’s dangerous.

 

 

40. 파마(perma) - perm

머리카락을 곱슬하게 만드는 미용 기술을 한국에서는 '파마'라고 하지만, 영어권에서는 "perm"이라고 합니다.

예: The perm on my hair turned out great.

 

 

41. 프리사이즈(free size) - one size fits all

프리사이즈는 모든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사이즈를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프리사이즈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one size fits all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This outfit is one size fits all, so anyone can wear it.

 

 

42. 하이패스(hi-pass) - tollgate pass

한국의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자동 요금 결제 시스템인 하이패스는 영어로는 "tollgate pass" 또는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으로 표현됩니다.

예: We passed through quickly using the tollgate pass.

 

 

 

43. 핸드폰 충전기(handphone charger) - mobile phone charger

핸드폰 충전기는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한국에서는 핸드폰 충전기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mobile phone charger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I forgot to bring my mobile phone charger.

 

 

44. 핸드폰(handphone) - mobile phone

핸드폰은 휴대전화를 말합니다. 한국에서는 핸드폰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mobile phone이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됩니다.

예: I can’t find my mobile phone anywhere.

 

 

 

45. 핸들(handle) - steering wheel

자동차의 운전대를 '핸들'이라고 부르지만, 영어권에서는 "steering wheel"이라고 합니다.

예: The steering wheel is too stiff, making it hard to drive.

 

 

46. 핸들커버(handle cover) - steering wheel cover

자동차의 핸들을 보호하는 커버를 한국에서는 '핸들커버'라고 부르지만, 영어권에서는 "steering wheel cover"로 표현됩니다

예: I really like this steering wheel cover.

 

 

47. MP3(MP3) - MP3 player

MP3는 음악 파일 형식이지만, 한국에서는 이를 기기 자체로 부르며, 영어권에서는 "MP3 player"라고 부릅니다.

예: I still listen to music on my MP3 player.

 

 

48. USB(USB) - USB memory stick

USB는 저장 장치를 가리키며, 영어권에서는 "USB memory stick"이나 "USB flash drive"라는 용어가 더 자주 사용됩니다.

USB(Universal Serial Bus)는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memory stick과 같이 구체화시킬 수 있는 명사를 붙여줘야 하는 것입니다.

예: I saved the important files on my USB memory stick.

 

 

49. 카드(card) → credit card or debit card

한국에서는 ‘카드’라는 단어로 신용카드와 직불카드를 통칭하지만, 영어에서는 credit card(신용카드)와 debit card(직불카드)로 구분해서 사용합니다.

예: I paid with my credit card.

 

 

50. 카페(café) → coffee shop

한국에서 ‘카페’는 음료와 함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장소로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coffee shop이라는 표현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예: I met my friend at a coffee shop.

 

 

 

 

 

위와 같은 콩글리시는 한국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이해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표현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어를 사용할 때는 올바른 영어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