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PR3 Defibrillation, 除細動을 해부하다 – 제세동 관련 용어 한자·영어 분석 정리 응급 상황에서 누군가가 쓰러졌을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AED 가져와!", "제세동!"이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하지만 이때 쓰이는 단어들 ― 제세동, 심실세동, 무수축, 심실빈맥 같은 말들은 막상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그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세동(Defibrillation)'을 중심으로 한 주요 용어들을 한자어와 영어 어원을 통해 풀어보려 합니다. 단순히 암기하는 것을 넘어서, 단어 하나하나에 담긴 의미를 되짚어보며 더 깊이 있게 응급의학의 개념을 이해해보시면 어떨까요?주요 용어 정리용어한자어영어의미 풀이제세동除細動Defibrillation‘세동(細動)’을 ‘제거(除)’하는 것. 즉, 심장이 미세하게 떨리는 심실세동 상태를 전기 충격으로 멈추.. 2025. 6. 26. 제세동, 모든 심정지에 쓰이는 걸까? 심장이 멈췄을 때 꼭 알아야 할 오해와 진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사람이 쓰러지면 바로 “전기 충격!”을 외치며 기계를 들이대는 장면, 자주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응급 상황에선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합니다. 심장이 멈췄다고 무조건 전기 충격(제세동)을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심장이 완전히 멈췄을 때도 제세동이 필요한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도로 하겠습니다. 제세동이란?제세동(Defibrillation)은 심장이 불규칙하고 무질서하게 떨기만 하는 상태, 즉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이나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일 때, 전기 충격을 주어 정상 리듬으로 되돌리는 응급 처치입니다.그런데, 심장이 완전히 멈췄다면?이 상태는 의학적으로 무수축.. 2025. 6. 25.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길을 걷다 보면 지하철, 공공기관, 체육관 벽면 등에 AED라고 적힌 기기 박스를 본 적 있으실 겁니다. 혹은 자동심장충격기 또는 자동심장제세동기라고도 불리지요. 그런데 문득, “두 단어가 다른 건가?” “혹시 기능이 조금씩 다른 기기일까?” 라고 궁금하셨던 적 있지 않으신가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는 완전히 같은 기기입니다.단지 표현 방식이 다를 뿐, 기능도, 목적도, 사용법도 모두 동일합니다. 영어로는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 약어로 AED라고 하고요, 풀네임을 "오토메이티드 엑스터널 디피브릴레이터"라고 읽으면 영어 발음에 가까워집니다. 물론 보통은 그냥 .. 2025. 6.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