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by [MAVERICK] 2025. 6. 24.
반응형

https://www.londonambulance.nhs.uk/2024/07/25/the-shocking-truth-the-neighbourhoods-in-need-of-life-saving-defibrillators/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길을 걷다 보면 지하철, 공공기관, 체육관 벽면 등에 AED라고 적힌 기기 박스를 본 적 있으실 겁니다. 혹은 자동심장충격기 또는 자동심장제세동기라고도 불리지요. 그런데 문득, “두 단어가 다른 건가?” “혹시 기능이 조금씩 다른 기기일까?” 라고 궁금하셨던 적 있지 않으신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동심장충격기자동심장제세동기완전히 같은 기기입니다.

단지 표현 방식이 다를 뿐, 기능도, 목적도, 사용법도 모두 동일합니다. 영어로는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 약어로 AED라고 하고요, 풀네임을 "오토메이티드 엑스터널 디피브릴레이터"라고 읽으면 영어 발음에 가까워집니다. 물론 보통은 그냥 "에이이디"라고 부르지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67041


 

두 용어의 정확한 의미

 

용어 설명
자동심장충격기 전기 ‘충격’을 자동으로 주는 기기. 기능 중심 표현으로 대중에게 익숙한 용어입니다.
자동심장제세동기 심장의 세동(細動, 미세한 떨림)을 제거(除)하는 기기. 의학용어 기반의 전문 표현입니다.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약자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공식 명칭입니다.
 

즉, ‘충격기’는 무슨 일을 하는지 직관적으로 설명한 이름이고, ‘제세동기’는 의학적 작동 원리에 기반한 보다 정확한 표현이죠. 하지만 기기는 하나, 이름만 둘입니다.

 


왜 이름이 헷갈릴까?

이런 이름의 혼용은 대중 친화성과 전문 용어 사이의 간극에서 생겨납니다.

 

구분 용어 특징
대중용 자동심장충격기 쉽게 이해됨, 설명 중심
전문가용 자동심장제세동기 정확하고 공식적인 의학 용어
국제표기 AED 세계 공통 약어, 기기 외부에 가장 많이 쓰임

요즘은 공공장소에서도 ‘AED’ 또는 ‘자동심장충격기’라는 표현이 더 자주 사용되지만, 병원이나 의학 교재에서는 ‘제세동기’라는 말이 기본 용어입니다.


AED, 왜 필요할까?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심정지’ 상황에서 가장 흔한 리듬 이상 중 하나가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입니다.

이 상태는 심장이 무질서하게 떨기만 할 뿐 피를 내보내지 못하므로, 수 분 내 조치를 하지 않으면 치명적입니다.

이때 AED가 필요합니다.

  • 부착된 패드를 통해 심장 리듬을 자동 분석하고,
  • 필요 시 전기 충격으로 심장의 리듬을 초기화(=제세동) 해줍니다.

이후 정상 박동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기입니다.


자동심장충격기(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방법

https://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3&category1_code=1247206302&category2_code=1527742406&page_idx=1119

 

대한심폐소생협회

나 하나로 또 하나의 생명을

www.kacpr.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