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기차 종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동차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전기차(Electrified Vehicle)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BEV, HEV, PHEV 등 복잡한 약어들 때문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전기차는 충전 방식도 다양하고, 종류별로 주행 가능 거리나 유지비도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기차와 관련된 필수 용어들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실질적인 유지비까지 한눈에 비교해 드리려고 합니다. 이 글만 읽어도 전기차에 대한 궁금증이 모두 해결되실 겁니다!
전기차 관련 용어 요약표
약어 | 명칭 | 정의 | 주요 특징 |
BEV | Battery Electric Vehicle | 배터리 전기차 | 100% 배터리로 구동, 내연기관 없음 |
HEV | Hybrid Electric Vehicle | 하이브리드차 | 엔진 + 전기모터, 전기충전은 불가 (자체 충전) |
PHEV | Plug-in Hybrid 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 HEV와 유사하지만, 외부 플러그로 충전 가능 |
REEV | Range-Extended EV |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 | 동력은 전기, 엔진은 발전용 |
FCEV | Fuel Cell Electric Vehicle | 수소연료전지차 | 수소로 전기를 만들어 모터를 돌림 (배출가스 없음) |
MHEV | Mild Hybrid EV | 마일드 하이브리드 | 엔진 보조용 작은 전기모터 장착 (완전 전기 주행 불가) |
ZEV | Zero Emission Vehicle | 무공해 차량 | 주행 중 배출가스 없는 차량 (BEV, FCEV 등 포함) |
전기차 충전 방식 용어
용어 | 뜻 | 설명 |
완속 충전 | 일반 충전 (AC) | 보통 4~7시간 정도 소요, 집이나 공공 충전기 |
급속 충전 | 빠른 충전 (DC) | 30분~1시간 내 충전 가능 (고속도로 휴게소 등) |
V2L | Vehicle to Load | 전기차 배터리로 전자기기(가전 등) 구동 가능 |
V2G | Vehicle to Grid | 전기차가 전력을 전력망에 다시 공급 (양방향) |
실전 팁
- BEV: 충전소 인프라가 중요
- PHEV: 단거리 전기, 장거리 가솔린 병행
- FCEV: 수소 충전소 부족이 가장 큰 문제
- HEV: 가장 보편화된 하이브리드, 충전 필요 없음
1km당 연료비 비교 (2025년 추정 기준)
차량 유형 | 연료 | 평균 연비 | 연료 단가 (원) | 1km당 연료비 (원) | 비고 |
전기차 (BEV) | 전기 | 5.5 km/kWh | 약 280원/kWh | 약 51원/km | 완속 기준, 급속은 약 2배 |
하이브리드 (HEV) | 휘발유 | 약 20 km/ℓ | 약 1,700원/ℓ | 약 85원/km | 자체 충전 기능 포함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 전기+휘발유 | 전기모드 약 6 km/kWh 내연기관 약 17 km/ℓ |
280원/kWh + 1,700원/ℓ | 전기: 47원/km 기름: 100원/km |
상황별 다름 |
디젤차 | 경유 | 약 15 km/ℓ | 약 1,500원/ℓ | 약 100원/km | 승용 기준 |
가솔린차 | 휘발유 | 약 12 km/ℓ | 약 1,700원/ℓ | 약 142원/km | 소형차 기준 |
수소차 (FCEV) | 수소 | 약 90 km/kg | 약 8,000원/kg | 약 89원/km | 수소가격 변동 폭 큼 |

핵심 요약
- 가장 저렴한 건 전기차 (완속 기준)
- 급속 충전 시 전기차도 1km당 80~100원까지 올라감
- PHEV는 전기 모드 사용 비율에 따라 매우 경제적일 수 있음
- 수소차는 친환경이지만 수소 가격·인프라 부족이 문제
계산해보기 (전기차)
- 평균 전비: 5.5km/kWh
- 전기요금: 280원/kWh (완속 충전 기준)
- → 1km 주행 시 = 280 ÷ 5.5 ≒ 51원
지금까지 다양한 전기차의 종류와 충전 방식, 그리고 가장 궁금해하실 1km당 연료비까지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경제적인 선택은 전기차(BEV)의 완속 충전이지만, 충전 인프라와 급속 충전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반면, HEV는 충전 걱정 없이 효율적인 주행이 가능하고, PHEV는 단거리에서는 전기차처럼, 장거리에서는 하이브리드처럼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처럼 각자의 운전 습관과 환경에 맞는 전기차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여러분의 스마트한 자동차 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