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식과 철학의 지위바꿈1 상식과 철학의 지위바꿈, 또는 동서 발상법의 엇물림 - 유초하 * 육체 담론 흥성의 토양 -서양 문화사에서 육체가 문화적 생산물의 본격적 주제로 등장한 것은 근대에 들어와서였다. 이르게는 18세기 중엽 이후의 사실주의 문학에서 보통 사람들의 삶을 다루는 소설에서부터 육체의 문제가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육체와 욕망에 대한 담론이 흥성하게 된 데에는 브룩스가 지적한 대로 몇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일상 생활의 역사에 관한 관심이 증대 둘째, 정신분석학이 발달했다. 셋째, 페미니즘 이론이 고양되고 있다. -육체 담론은 개방과 탈주의 탈현대적 경향의 범역 속에 있다. * 형이상학의 방기와 상식의 복권 -육체 담론의 첫 번째 공통점 : 그 주제의 성격이나 논점의 줄기와는 어긋날 만큼 또는 어울리지 않을 만큼 매우 치밀하고 복잡한 방식으로 펼쳐진다는 것 -라캉, 푸코.. 2011. 2. 2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