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반응형

전체 글415

다중지성의 정원 2011년 2분학기(3월 28일 개강) 배치표 http://daziwon.net/ 을 참조하세요 2011. 3. 6.
기초학문과 대학교육 그리고 취업 기초학문과 대학교육에 관한 글입니다. 진정한 대학교육은 항상 무엇인가를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 있습니다. 이것은 곧 우리 자신을 규정짓고 분할하는 구획에 대한 일종의 항거의 의미를 지닐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아래 자료는 대학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뿐만 아니라 고용주들이 구직자들에게서 희망하는 자질들 또한 알 수 있는 글입니다. 2011. 3. 6.
영어음성학 / 영어 모음 및 자음 발음 방법 영어 모음 및 자음의 발음 방법과 간단한 예시들이 제공되는 도표입니다. 본 자료는 박충연 선생님(경원대)의 『실용영어음성학』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간략히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 2011. 3. 6.
[경원] Unit. 1 Finding the Ideal Job (각주 해설본) 첨부를 참조해 주시고, Reading One만 미리 "가볍게" 읽어오시면 됩니다. 2011. 3. 5.
[경원] 온라인과제 문제해결 안내 LMS 관련하여 문제 발생 시, 1. 우선적으로 Help Desk의 FAQ를 참고하시고, 2. 거기서 해결이 안되는 문제는 Help Desk상에 지정된 주소인 supportkr@pearsonlongmansupport.com로 문의하도록 하십시오. 문의한지 오래도록 회신을 못받은 경우라면 다른 이메일로 문의했거나, 상대적으로 덜 위급한 문제로 취급되었을 수 있으니, 위에적은 주소로 다시한번 문의하도록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FAQ가 수시로 업데이트 되고있으니 늘 FAQ를 먼저 읽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longmankorea.com/kilc/MEL_FAQ01.html 2011. 3. 4.
<포스트 포디즘>이란? 포스트 포디즘이란 20세기 후반 이후 대부분의 산업화된 국가들에서 경제적 생산과 소비의 지배적 체계 및 연합된 사회경제적 현상에 붙여진 이름이다. 생산라인과 숙련된 반복 작업의 특징을 지닌 포드주의와는 대조적이다. 포스트 포디즘은 다음과 같은 속성들을 지니고 있다. ㆍ소량 생산 ㆍ규모의 경제 ㆍ전문화된 생산품들과 직업들 ㆍ새로운 정보 기술들 ㆍ사회 계급보다는 소비자들 유형에 대한 강조 ㆍ서비스 및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의 상승 ㆍ노동력의 여성화(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포스트 포디즘의 이론들] 포스트 포디즘에 관한 이론들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학자들의 견해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나뉜다. ① Flexible Specialization (유연적 전문화) - 대량판매를 대체함 ② Neo-Schumpete.. 2011. 2. 22.
동물농장 챕터별 줄거리 2, 4, 6, 7, 9 장의 줄거리만 있습니다. 2011. 2. 22.
베르그송의의 간-신체와 사이 존재론 - 박치완 *몸과 영혼은 모순된 짝인가? -"관념"이 몸과 영혼 사이에 '껴'있어 '합일 체험'을 방해한다. 여기서 "관념"은 몸과 영혼의 관계를 이어 주는 매개가 아니라, 되려 이 둘의 사이를 벌려 놓는 이물질이다. *'몸이 전부'라는 몸-살론에 대한 의문 -몸-영혼을 함께 한 인간을 기형화한 요소들 : 관념, 이성, 진리 -"말의 사용법을 둘러싼 논쟁" - 몸, 영혼, 서로가 만나 인간을 빚음으로써 인간 존재가 가능한 그런 논리가 아니라 영혼이 항상 전체를 독점 -영혼-인간. 몸, 영혼, 서로가 떠받치어 한 인간이 존재 가능하다는 소박한 상식을 완전히 벗어난 주장이 바로 "몸은 영혼에 종속한다"는 영혼(정신) 중심의 이원론적 세계관이다. -'인간','주체'를 뒤흔들어, 철학사적으로 말해, 이 두 고질적 주제가 .. 2011. 2. 20.
영화와 신체 - 이정원 *생각하는 신체 -스피노자의 유물론에 의하면 정신과 신체는 동일한 것이어서 서로 상호작용할 수도 없고 상호작용하고 있지도 않다. -문제는 정신과 신체(혹은 이미지와 연장) 중 어느 쪽을 택할 것이냐가 아니라, 양자의 본질이 무엇이며 양자의 관계가 무엇이냐이기 때문 *탈행동 공간과 신체 -감정은 신체를 지시한다. -감정의 무한한 발명 : 감정의 발명은 우리를 주관적 감정 너머로 인도한다. 니체가 원한을 발명하믕로써 원한을 넘어갔고, 프루스트가 질투를 발명함으로써 질투를 건너갔으며, 카프카가 절망을 발견함으로써 절망을 건너갔듯이. 감정의 발명, 그리고 그 뒤를 다르는(동시일 수도 있다) 비주관적인 감정은 유기적이지 않은 신체를 지시함. 그것은 체벽 이전의 신체들로 인해 언제나 틈새와 함께하는 가벼운 복수적 .. 2011. 2. 20.
몸과 말 - 조광제 *우리말에 관한 하나의 가설 -도대체 이 모든 것들이 무엇으로 되어 있는가? '만물의 아르케가 무엇인가?' => 철학적 사유의 개척자들이 던진 근원적인 물음 -마음보다는 몸이 더 근원적이라는 것. 그리고 생각하는 것보다 일하는 것이 더 근원적. 여기서 근원적이라는 것은 과학적인 사유나 합리적으로 나누고 모으는 분석-종합의 과정에서 볼 때 더 근원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즉 인식론적인 관점에서 보아 근원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 혹은 무엇에 근거해서 다른 무엇이 성립하게 되었는가 하는 존재론적인 근원을 탐구한다는 의미에서 근원적인 것도 아님 *한 호흡 말과 몸에 관련된 가설 -얼빠졌다고 하는 것은 몸의 상태를 직접 지시하는 것 -'얼'이란 '몸'이 얼마만큼 주어진 환경에 대처해서 생동적으로 살아 .. 2011.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