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정보 나눔터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10편 93.5위 Boring ~ 99위 Freud

by [MAVERICK] 2025. 3.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중 93.5위 Boring부터 99위 Freud까지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각 심리학자의 간략한 생애, 주요 이론, 주요 업적, 주요 저서, 학문적 유산 및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게시물에서 제시하는 순위는 Review of General Psychology(Vol. 6, No. 2)에 수록된 것이며, 아래 링크를 통해 전체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apa.org/monitor/julaug02/eminent

 

https://www.apa.org/monitor/julaug02/eminent

 

www.apa.org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1편 01위 Skinner ~ 10위 Maslow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2편 11위 Allport ~ 20위 Miller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3편 21위 Hull ~ 30위 Kohlberg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4편 31위 Seligman ~ 40위 Osgood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5편 41위 Asch ~ 50위 Köhler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6편 51위 Wechsler ~ 60위 Sternberg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7편 61위 Lashley ~ 70위 Maccoby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8편 71위 Plomin ~ 80위 Lazarus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09편 81위 Cannon ~ 88.5위 Woodworth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10편 93.5위 Boring ~ 99위 Freud

 


 

93.5. 에드윈 G. 보링 (Edwin G. Boring, 1886–1968)

https://en.wikipedia.org/wiki/Edwin_Boring
  • 생애: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심리학 역사가입니다. 심리학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큰 공헌을 했으며, 심리학을 과학적인 학문으로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 주요 이론:
    • 심리학의 역사 서술: 심리학의 발전을 철학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과학으로 발전해 온 과정으로 설명하고, 주요 학파와 이론의 계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그의 저서는 오랫동안 심리학 역사 학습의 표준 교재로 사용되었습니다.
    • 작업주의 심리학 (Operationism): 과학적 개념은 측정 가능한 조작적 정의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장은 심리학 연구의 과학적 엄밀성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주요 업적:
    • A History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29) 등 심리학 역사에 관한 기념비적인 저서를 통해 심리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후대 심리학자들에게 중요한 역사적 관점을 제공했습니다.
    • 작업주의 심리학 개념을 옹호하여 심리학 연구의 과학적 엄밀성을 강조했습니다.
    • 미국 심리학회 (APA) 회장을 역임하며 심리학계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심리학 저널 편집 활동을 통해 심리학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했습니다.
  • 주요 저서:
    • A History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29)
    • Sensation and Perception in the History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42)
    • Psychologist at Large: An Autobiography and Selected Essays (1961)
  • 학문적 유산: 보링의 심리학 역사 저서는 심리학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인 자료로 오랫동안 사용되었으며, 심리학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틀을 제공합니다. 그의 작업주의 주장은 심리학 연구의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촉진했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보링은 심리학 역사 연구에 매우 열정적이었으며, 방대한 자료를 꼼꼼하게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습니다. 그의 역사 서술은 때로는 특정 관점에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심리학의 발자취를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93.5. 존 듀이 (John Dewey, 1859–1952)

https://en.wikipedia.org/wiki/John_Dewey
  • 생애: 미국의 철학자, 심리학자, 교육 개혁가입니다. 실용주의 철학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이며, 교육과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진보주의 교육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시카고 대학교 및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 주요 이론:
    • 실용주의 (Pragmatism): 사고와 지식은 실제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때 그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고 주장했습니다. 경험을 통해 배우고, 지식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수정되는 도구라고 보았습니다.
    • 경험주의 (Experientialism): 학습은 추상적인 이론 습득이 아니라 능동적인 경험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강조했습니다. 직접적인 경험, 탐구, 문제 해결을 교육의 핵심 요소로 제시했습니다.
    • 반성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 민주주의와 교육: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으로서 필요한 비판적 사고 능력, 협력 정신,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하는 것을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보았습니다.
  • 주요 업적:
    • 실용주의 철학을 발전시키고, 교육,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했습니다.
    • 진보주의 교육 운동을 주도하며 아동 중심 교육, 활동 중심 학습, 문제 해결 학습 등 혁신적인 교육 방법론을 제시했습니다.
    • 교육과 민주주의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교육이 사회 개혁의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 주요 저서:
    • The School and Society (1899)
    • Democracy and Education (1916)
    • Experience and Education (1938)
    • Art as Experience (1934)
    • Logic: The Theory of Inquiry (1938)
  • 학문적 유산: 듀이의 실용주의 철학과 교육 사상은 현대 교육 이론 및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습자 중심 교육,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다양한 혁신적인 교육 방법론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합니다. 그의 사상은 교육을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닌, 능동적인 경험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과정으로 이해하도록 이끌었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듀이는 이론가일 뿐만 아니라 실천적인 교육 개혁가로서, 시카고 대학교에 실험 학교를 설립하여 자신의 교육 철학을 실제로 적용하고 검증하는 데 힘썼습니다. 이 실험 학교는 진보주의 교육 운동의 중요한 모델이 되었습니다.

93.5. 에이모스 트버스키 (Amos Tversky, 1937–1996)

https://en.wikipedia.org/wiki/Amos_Tversky
  • 생애: 이스라엘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입니다. 인지 심리학, 특히 판단 및 의사 결정 분야에서 대니얼 카너먼 (Daniel Kahneman)과 함께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했으며, 인간의 비합리적인 판단과 의사 결정의 원인을 밝히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 주요 이론:
    • 휴리스틱 (Heuristics) 및 편향 (Biases): 복잡한 판단 및 의사 결정 상황에서 사람들이 사용하는 간편한 정신적 지름길인 휴리스틱을 연구하고, 이러한 휴리스틱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예측 가능한 인지적 편향들을 밝혀냈습니다. 대표적인 휴리스틱으로는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가용성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 앵커링 및 조정 휴리스틱 (Anchoring and Adjustment Heuristic) 등이 있습니다.
    • 전망 이론 (Prospect Theory): 위험 상황에서의 의사 결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사람들은 절대적인 결과보다는 이득과 손실이라는 상대적인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손실 회피 성향을 보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경제학의 합리적 선택 모델에 대한 중요한 도전이었습니다.
  • 주요 업적:
    • 카너먼과 함께 휴리스틱 및 편향 연구를 통해 인간의 판단 및 의사 결정 과정이 반드시 합리적이지 않으며, 체계적인 오류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습니다. 이 연구는 심리학뿐만 아니라 경제학, 법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전망 이론을 개발하여 위험 상황에서의 인간 행동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했습니다.
  • 주요 저서:
    • 다수의 학술 논문 (카너먼과의 공동 연구 포함)
  • 학문적 유산: 트버스키의 휴리스틱 및 편향 연구는 행동 경제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의 탄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며, 인간의 비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의 이론적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그의 전망 이론은 경제학의 전통적인 합리성 가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실제 인간 행동에 더 부합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트버스키는 매우 창의적이고 날카로운 지적 능력을 가진 학자로 알려져 있으며, 카너먼과의 오랜 공동 연구를 통해 인간 판단 및 의사 결정 분야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그들의 협업은 심리학과 경제학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학문적 통찰력을 창출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습니다. 아쉽게도 트버스키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 전에 사망하여 카너먼만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93.5. 빌헬름 분트 (Wilhelm Wundt, 1832–1920)

https://en.wikipedia.org/wiki/Wilhelm_Wundt
  • 생애: 독일의 심리학자입니다. 실험 심리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187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했습니다. 심리학을 철학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인 과학 분야로 확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주요 이론:
    • 구조주의 (Structuralism): 의식을 기본적인 요소 (감각, 이미지, 감정)로 분해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어떻게 결합하여 복잡한 정신 과정을 형성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심리학의 주요 목표로 삼았습니다.
    • 내성법 (Introspection): 훈련된 피험자가 자신의 의식 경험을 체계적으로 보고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의식의 기본 요소를 연구했습니다.
    • 지각 (Perception) 및 감각 (Sensation) 연구: 주로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 경험과 기본적인 지각 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했습니다.
  • 주요 업적:
    • 1879년 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하여 심리학을 실험 과학으로 발전시키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 심리학 연구를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 (내성법)을 개발하고 적용했습니다.
    • 심리학 최초의 학술 저널인 "철학 연구 (Philosophische Studien)"를 창간하여 심리학 연구 결과 발표의 장을 마련했습니다.
    •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여 전 세계에 실험 심리학을 보급했습니다.
  • 주요 저서:
    • Principles of Physiological Psychology (1873-1874)
    • Outlines of Psychology (1896)
    • Folk Psychology (1900-1920)
  • 학문적 유산: 분트는 심리학을 철학에서 분리하여 독립적인 과학 분야로 확립한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그의 실험실 설립과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은 현대 심리학 연구의 기초가 되었으며, 그의 구조주의는 이후 기능주의, 형태주의 등 다양한 심리학 학파의 발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분트의 실험실은 초기 심리학 연구의 중심지였으며, 전 세계에서 많은 학자들이 그의 연구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연구실을 설립하기 위해 라이프치히로 몰려들었습니다. 그의 내성법은 주관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당시로서는 의식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려는 혁신적인 시도였습니다.

96. 허먼 A. 위트킨 (Herman A. Witkin, 1916–1979)

https://en.wikipedia.org/wiki/Herman_Witkin
  • 생애: 미국의 심리학자입니다. 인지 스타일 (Cognitive Style), 특히 장 의존성-장 독립성 (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개념 연구로 유명합니다. 브루클린 칼리지 및 교육 시험 서비스 (Educational Testing Service, ETS)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습니다.
  • 주요 이론:
    • 장 의존성-장 독립성 (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개인이 주변 환경의 맥락으로부터 정보를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고하는 정도의 개인차를 나타내는 인지 스타일입니다. 장 독립적인 사람은 분석적이고 추상적인 사고를 잘하며, 주어진 정보에서 핵심 요소를 잘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장 의존적인 사람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신체 개념 (Body Concept) 및 자아 개념 (Self-Concept) 발달: 인지 스타일과 자아 개념 발달 간의 관계를 연구했습니다.
  • 주요 업적:
    • 장 의존성-장 독립성이라는 중요한 인지 스타일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 (예: 내장 도형 검사, 막대-틀 검사)를 개발했습니다.
    • 인지 스타일이 지각, 문제 해결, 학습,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인지적 및 행동적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 인지 스타일 연구를 교육, 직업 상담 등 다양한 실제적인 영역에 적용했습니다.
  • 주요 저서:
    • Personality Through Perception: An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y (1954)
    • Psychological Differentiation: Studies of Developm 1 ent (1962)
    • Field Dependence in Cognitive Styles and Educational Practices (1977)
  • 학문적 유산: 위트킨의 장 의존성-장 독립성 개념은 개인차 심리학 및 인지 심리학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 방식, 학습 전략, 직업 선택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위트킨의 장 의존성-장 독립성 연구는 원래 공군 조종사들이 복잡한 시각적 환경에서 방향 감각을 유지하는 능력의 개인차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는 특정 개인들이 주변 시각적 정보에 덜 의존하고 자신의 내부 감각에 더 의존하여 방향을 잘 찾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 현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97. 메리 D. 에인스워스 (Mary D. Ainsworth, 1913–1999)

https://theattachmentclinic.org/AboutUs/about_mary_ainsworth.html
  • 생애: 미국의 발달 심리학자입니다. 존 볼비 (John Bowlby)의 애착 이론을 발전시키고, 낯선 상황 실험 (Strange Situation Procedure)을 개발하여 아동의 애착 유형을 분류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 주요 이론:
    • 애착 유형 (Attachment Styles): 낯선 상황 실험을 통해 아동이 주 양육자와 보이는 반응 패턴을 관찰하여 안정 애착 (Secure Attachment), 불안정-회피 애착 (Insecure-Avoidant Attachment), 불안정-저항 애착 (Insecure-Resistant Attachment), 그리고 이후 메리 메인 (Mary Main)에 의해 제시된 혼란형 애착 (Disorganized Attachment)의 네 가지 주요 애착 유형을 분류했습니다.
    • 민감성 (Sensitivity) 가설: 주 양육자의 민감하고 반응적인 양육 태도가 아동의 안정 애착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주요 업적:
    • 낯선 상황 실험을 개발하여 아동 애착 연구의 표준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애착 유형 분류를 통해 초기 애착 관계의 질적인 차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볼비의 애착 이론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애착 이론의 발달 심리학적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 초기 애착 경험이 이후의 사회성, 정서 발달, 관계 형성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를 촉진했습니다.
  • 주요 저서:
    • Infancy in Uganda: Infant Care and the Growth of Love (1967)
    •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공저) (1978)
  • 학문적 유산: 에인스워스의 애착 유형 분류 및 낯선 상황 실험은 현대 발달 심리학의 핵심적인 개념과 방법론으로 자리 잡았으며, 아동 발달, 부모-자녀 관계, 심리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녀의 연구는 초기 양육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건강한 발달을 위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였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에인스워스는 우간다에서의 초기 연구를 통해 어머니-아기 관계의 중요성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애착 이론의 초기 아이디어를 발전시켰습니다. 그녀의 낯선 상황 실험은 처음에는 다소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아동 애착 연구의 gold standard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98. 오르발 호바트 모러 (Orval Hobart Mowrer, 1907–1982)

https://psicologiaymente.com/biografias/orval-hobart-mowrer
  • 생애: 미국의 학습 심리학자입니다. 학습 이론, 특히 두 요인 학습 이론 (Two-Factor Theory of Learning)을 제시하고, 언어 발달 및 이상 행동 연구에 기여했습니다. 일리노이 대학교 및 오클라호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 주요 이론:
    • 두 요인 학습 이론 (Two-Factor Theory of Learning): 고전적 조건형성과 도구적 조건형성의 두 가지 학습 과정이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고전적 조건형성은 정서적 반응과 같은 수의적 반응을 학습하는 데 관여하고, 도구적 조건형성은 자발적인 행동과 그 결과 간의 연합을 학습하는 데 관여한다고 보았습니다.
    • 불안 감소 이론 (Anxiety Reduction Theory) of Reinforcement: 강화는 직접적인 쾌락이나 보상이 아니라 불안 감소를 통해 일어난다고 주장했습니다.
    • 언어 발달 이론: 언어 학습은 모방과 강화뿐만 아니라, 아동이 단어를 정서적 반응과 연합시키는 고전적 조건형성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 주요 업적:
    • 두 요인 학습 이론을 제시하여 학습 심리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고전적 조건형성과 도구적 조건형성의 차이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 불안 감소 이론을 통해 강화의 동기적 역할을 새롭게 해석했습니다.
    • 언어 발달에 대한 학습 이론적 설명을 제시했습니다.
    • 야뇨증 치료를 위한 조건형성 기반의 벨-패드 (Bell-Pad) 장치를 개발하여 임상 심리학에 기여했습니다.
  • 주요 저서:
    • Learning Theory and Behavior (1960)
    • The Crisis in Psychiatry and Religion (1961)
  • 학문적 유산: 모러의 두 요인 학습 이론은 학습 심리학의 중요한 이론 중 하나로 남아 있으며, 특히 공포 및 회피 학습과 같은 복잡한 행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그의 불안 감소 이론은 동기 부여 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으며, 벨-패드 장치는 야뇨증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모러는 학습 이론 연구뿐만 아니라 정신 질환의 원인과 치료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심리학과 종교 간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99. 안나 프로이트 (Anna Freud, 1895–1982)

https://en.wikipedia.org/wiki/Anna_Freud
  • 생애: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국의 정신분석학자입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막내딸로, 아동 정신분석 분야를 개척하고 자아 방어 기제 (Ego Defense Mechanisms)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유명합니다. 런던 아동 치료소 (Hampstead Clinic)를 설립하고 아동 정신분석 교육 및 연구에 헌신했습니다.
  • 주요 이론:
    • 아동 정신분석 (Child Psychoanalysis): 성인 정신분석과는 다른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정신 역동을 고려한 독자적인 아동 정신분석 이론 및 치료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 자아 방어 기제 (Ego Defense Mechanisms): 자아가 원초아의 충동과 초자아의 도덕적 요구 사이의 갈등, 그리고 외부 현실의 위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심리적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설명했습니다. 대표적인 방어 기제로는 억압, 부인, 투사, 반동 형성, 승화 등이 있습니다.
    • 발달 선 (Developmental Lines): 아동이 의존적인 상태에서 자율적인 성인으로 발달해 나가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 주요 업적:
    • 아동 정신분석을 독립적인 분야로 확립하고, 아동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이해와 치료 접근 방식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켰습니다.
    • 자아 방어 기제 이론을 정교화하여 정신분석 이론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으며, 정상 및 이상 행동 이해에 기여했습니다.
    • 런던 아동 치료소를 설립하여 아동 정신분석 교육 및 연구의 중심지로 발전시켰습니다.
    • 전쟁 고아 연구를 통해 심리적 외상의 영향 및 아동 발달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 주요 저서:
    • The Ego and the Mechanisms of Defence (1936)
    • Normality and Pathology in Childhood: Assessments of Development (1965)
    • Beyond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공저) (1973)
  • 학문적 유산: 안나 프로이트의 아동 정신분석 이론 및 자아 방어 기제 개념은 현대 정신분석학뿐만 아니라 발달 심리학, 임상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녀의 업적은 아동의 심리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으며, 자아 기능 및 방어 기제 연구는 정신 건강 문제 이해에 필수적인 요소로 남아 있습니다.
  • 재미있는 에피소드: 안나 프로이트는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곁에서 오랫동안 함께하며 정신분석학을 배우고 발전시켰습니다. 그녀는 아버지의 이론을 계승하면서도 아동이라는 특별한 발달 단계를 고려한 독자적인 이론적 틀과 치료 기법을 구축하는 데 헌신했습니다.

 

본 게시물은 심층적인 분석과 통찰력 있는 정보 제공을 위해 Google에서 훈련한 대규모 AI 언어 모델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으며, 첨단 AI 기술을 활용하여 폭넓은 자료를 분석 및 생성하고 정보의 풍부함과 깊이를 더하는 데 AI 언어 모델과의 협력이 이루어졌습니다.

 

 


더 읽어 보기

미국심리학회 회원들이 선정한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100인

 

 

미국심리학회 회원들이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심리학자 100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심리학회 회원들이 선정한 20세기 최고의 심리학자 100인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이 게시물의 출처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면 되는데요, 출처에 해당하는 글의 원

firebird.tistory.com

 

 

20세기 저명한 심리학자 순위를 매긴 연구에 관한 이야기

 

20세기 최고의 심리학자 순위를 매긴 연구에 관한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세기 최고의 심리학자 순위를 매긴 연구 결과를 공유하려고 합니다.이 게시물의 출처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시면 되는데요, 출처에 해당하는 글의 원래 제목은 Study ranks

firebir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