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모두 모두 행복하세요.
  • 내일은 더 행복하세요.
반응형

전체 글535

세계화 vs 국제화 vs 지역화 vs 현지화 vs 세방화(글로컬라이제이션) 완벽 비교: 개념부터 사례까지 한눈에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세계회, 국제화, 지역화, 현지화, 세방화 등의 용어를 정리해 보려고 해요.요즘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말, 어디서든 자주 들으시죠? 그런데 ‘국제화’, ‘지역화’, ‘현지화’, 그리고 최근 각광받는 ‘세방화(Glocalization)’까지… 비슷비슷한 용어들이 쏟아지면서 혼란스러운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이 글에서는 세계화, 국제화, 지역화, 현지화, 세방화라는 다섯 가지 개념을 정의 → 특징 → 사례 → 비교 순으로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한 번 보면 헷갈리지 않고, 실무나 공부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만 쏙쏙 뽑았습니다. 용어의 차이부터 전략적 함의까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세계화, 국제화, 지역화, 현지화, 세방화(글로컬라이제이션)는 비슷해 보이지만.. 2025. 7. 13.
인재 육성을 위한 부처별 대학 인력 양성 지원 사업 총정리(2025년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인재 육성을 위해 부처별로 어떤 사업을 추진중인지 알아보려고 해요.지금 대한민국의 대학가에서는 보이지 않는 ‘인재 육성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습니다. 교육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고용부… 각 부처가 앞다퉈 내놓은 지원 사업들은 마치 한 편의 올스타전을 방불케 합니다. AI에서 반도체, 해양수산에서 스마트시티까지! 분야도 다양하고, 목표도 확실한 이 사업들은 모두 하나의 방향을 가리킵니다. 바로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지역맞춤형 핵심 인재 양성이지요.이 글에서는 교육부의 RISE, 글로컬대학 30, BK21부터 산업부의 기술인력 양성, 고용노동부의 K-디지털 트레이닝까지, 부처별 주요 대학 지원 사업을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 이름은 비슷해도 다르고,.. 2025. 7. 12.
지역 주도형 혁신 생태계 구축: RIS(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에서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로의 전환과 미래 전략 안녕하세요! 오늘은 RIS와 RISE에 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RISE의 전신이 RIS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두 체계 모두 국가 균형 발전이라도 과업을 이루기 위해 생겨난 셈이죠. 수도권 집중과 지역 소멸 위기는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과제입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의 특성과 산업 수요를 반영한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을 추진해 왔으며, 그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부터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로의 전면 전환을 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RIS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고, RISE 체계의 도입 배경과 구조, 그리고 향후 기대되는 변화와 과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는 지역이 주도하는 대학 지원과 혁신 생태.. 2025. 7. 11.
서울대에서 제시한 상식 기준 안녕하세요! 오늘은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서울대에서 제시한 상식 기준"을 살펴보려고 해요. 총 30개의 문제로 구성됐는데요, 약간의 설명을 달아보았습니다.1. 노벨상 시상 분야물리학상: 물리학 분야의 획기적인 발견이나 연구 성과에 수여화학상: 화학 분야의 주요 업적에 대해 시상생리학·의학상: 생명과학·의학 관련 중대한 발견에 수여문학상: 뛰어난 문학 작품이나 작가에게 수여평화상: 평화 증진에 기여한 개인·단체에 수여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시상)경제학상: 정확한 명칭은 ‘스웨덴 국립은행 경제학상’으로, 노벨재단이 시상함 2. 사회계약설 주장 학자토마스 홉스(Thomas Hobbes): 『리바이어던』에서 자연 상태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라 보고, 강력한 국가 권력 필요 주장존 로크(John Loc.. 2025. 7. 9.
자기정체감(self-identity)이 아니고 자아정체감(ego-identity)이라고 하는 이유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기정체감이 아니고 자아정체감이라고 하는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왜 “자기정체감(self-identity)”이 아니라 “자아정체감(ego-identity)”이라고 부를까요?그 이유는 심리학적 배경과 용어의 기원, 개념의 초점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찬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자아정체감(Ego-identity)”은 Erikson의 이론에서 비롯된 용어로, '자기(Self)' 전체보다는 ‘자아(Ego)’가 외부 세계와 조화롭게 정체성을 구성하는 심리적 기능을 강조하기 때문에 이 표현을 씁니다. 반면 “자기정체감”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는 아니고, 심리학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라고 보시면 됩니다.자아정체감(ego-identity)의 정의에릭슨(Erik Er.. 2025. 7. 8.
자기수용 자기인식 자기이해 자기중심성 등 자기와 자아와 관련한 심리학 개념들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기와 자아와 관련한 심리학 개념들을 살펴보려고 합니다.자기/자아 관련 심리학 개념들1. 자기수용(Self-Acceptance)자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 자기이해와 연결되며, 정신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2. 자기인식(Self-Awareness)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을 자각하고 있는 상태. 메타인지 능력과도 연결됨. 3. 자기통제(Self-Control) / 자기조절(Self-Regulation)충동이나 감정을 조절하고 목표 지향적인 행동을 하는 능력. 미루기 행동이나 감정조절과 관련이 많아. 4. 자기확신(Self-Assurance)자기 신념이나 판단에 대한 확신. 타인의 평가에 쉽게 흔들리지 않음. 5. 자기실현(Self-Actualizat.. 2025. 7. 7.
자존감 vs 자기존중감 vs 자아존중감: 헷갈리는 심리학 용어를 자기(Self)와 자아(Ego)로 제대로 알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존감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자아존중감 등을 통해 헷갈리는 심리학 용어를 살펴보려고 해요. "자존감이 낮은 것 같아…", "자아존중감 회복이 필요해요"우리는 일상에서 이런 표현을 자주 듣습니다. 그런데 잠깐, "자존감"과 "자아존중감"은 같은 말일까요? 혹시 여러분도 한 번쯤 헷갈려 보신 적 있지않으실까요?이번 글에서는 일상 언어에서 자주 쓰이는 “자존감”이라는 표현과, 학문적 개념인 “자기존중감(self-esteem)” 사이의 관계를 한번 살펴보고, 왜 “자아존중감”은 부정확한 용어인지, 심리학적으로 그 이유를 살펴보려 합니다.혼동되기 쉬운 개념이지만, 알고 나면 의외로 명확해지니 찬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자존감과 자아존중감은 같은 말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자존감”은 실제로는 ‘.. 2025. 7. 6.
Defibrillation, 除細動을 해부하다 – 제세동 관련 용어 한자·영어 분석 정리 응급 상황에서 누군가가 쓰러졌을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AED 가져와!", "제세동!"이라는 말을 듣곤 합니다.하지만 이때 쓰이는 단어들 ― 제세동, 심실세동, 무수축, 심실빈맥 같은 말들은 막상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그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세동(Defibrillation)'을 중심으로 한 주요 용어들을 한자어와 영어 어원을 통해 풀어보려 합니다. 단순히 암기하는 것을 넘어서, 단어 하나하나에 담긴 의미를 되짚어보며 더 깊이 있게 응급의학의 개념을 이해해보시면 어떨까요?주요 용어 정리용어한자어영어의미 풀이제세동除細動Defibrillation‘세동(細動)’을 ‘제거(除)’하는 것. 즉, 심장이 미세하게 떨리는 심실세동 상태를 전기 충격으로 멈추.. 2025. 6. 26.
제세동, 모든 심정지에 쓰이는 걸까? 심장이 멈췄을 때 꼭 알아야 할 오해와 진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사람이 쓰러지면 바로 “전기 충격!”을 외치며 기계를 들이대는 장면, 자주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응급 상황에선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합니다. 심장이 멈췄다고 무조건 전기 충격(제세동)을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심장이 완전히 멈췄을 때도 제세동이 필요한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도로 하겠습니다. 제세동이란?제세동(Defibrillation)은 심장이 불규칙하고 무질서하게 떨기만 하는 상태, 즉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이나 심실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일 때, 전기 충격을 주어 정상 리듬으로 되돌리는 응급 처치입니다.그런데, 심장이 완전히 멈췄다면?이 상태는 의학적으로 무수축.. 2025. 6. 25.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의 차이점을 알아보려고 합니다.길을 걷다 보면 지하철, 공공기관, 체육관 벽면 등에 AED라고 적힌 기기 박스를 본 적 있으실 겁니다. 혹은 자동심장충격기 또는 자동심장제세동기라고도 불리지요. 그런데 문득, “두 단어가 다른 건가?” “혹시 기능이 조금씩 다른 기기일까?” 라고 궁금하셨던 적 있지 않으신가요?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동심장충격기와 자동심장제세동기는 완전히 같은 기기입니다.단지 표현 방식이 다를 뿐, 기능도, 목적도, 사용법도 모두 동일합니다. 영어로는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로 약어로 AED라고 하고요, 풀네임을 "오토메이티드 엑스터널 디피브릴레이터"라고 읽으면 영어 발음에 가까워집니다. 물론 보통은 그냥 .. 2025. 6. 24.
반응형